서지주요정보
Territorial science: producing geoscientific knowledge and geopolitical ord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영토과학: 지구과학 지식과 국가공간 질서의 상호구성
서명 / 저자 Territorial science: producing geoscientific knowledge and geopolitical ord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영토과학: 지구과학 지식과 국가공간 질서의 상호구성 / Sunge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240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STP 24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ow is the knowledge of our surroundings shaped by how we choose to govern them?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entanglement of geoscientific knowledge and geopolitical order by proposing a new concept of territorial science. I define territorial science as state-led projects to measure, monitor, and model nature through which a political community governs its physical extent. Territorial science is a crucial governmental apparatus for modern states to declare geographical boundaries, claim exclusive rights, and generate territorial imaginaries. To further develop the concept, this dissertation analyzes how the knowledge of air, land, and ocean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s entangled with the geopolitical conflicts that characterize this region. The knowledge about border-crossing air is generated from South Korean projects to find China responsible for air pollution in Seoul. The geological mapping of the underground territory allows the state to utilize the nation’s bedrock as a nuclear waste container. The oceanographic surveys in East Asia are restricted by maritime conflicts that condition what scientists can and cannot ask about earthly processes. Together, the case studies on three environmental conflicts show that geoscientific knowledge and geopolitical order are co-produced.

자연은 어떻게 영토가 되는가? 이 논문은 우리가 영토를 통치하는 방식이 우리가 지구에 관해 알 수 있는 과학적 지식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탐구하기 위해 ‘영토과학’이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영토과학은 국가가 주권이 미치는 범위를 확정하고, 영유권을 주장하고, 나아가 공간을 점용하기 위해 동원하는 지구과학 지식을 뜻한다. 공기, 땅, 바다는 영토과학을 거쳐 영공, 영토, 영해가 된다. 이 논문은 영토과학의 사례로서 한반도 안팎에서 발생하는 세 가지 환경 갈등을 탐구한다. 동아시아 대기의 성분과 이동에 관한 지식은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을 규명하려는 한국 정부의 외교적 목표에 따라 구성된다. 지하영토를 사용후핵연료 처분장으로 활용하려는 국가는 지층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관한 방대한 지식을 생산한다. 동아시아의 해수 순환에 관한 과학적 연구 역시 해양공간을 둘러싼 갈등에 영향을 받는다. 세 가지 사례조사는 현대 한국에서 지구과학적 지식과 국가공간의 질서가 상호구성됨을 보인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STP 24001
형태사항 v, 220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성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ihyung Je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치형
수록잡지명 : "Territorializing the air: Border-crossing air pollution and the geopolitics of atmospheric science in East Asia".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81-215
주제 Territory
Geoscience
Geopolitics
Co-production
State
영토
지구과학
지정학
상호구성
국가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