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tock market, the profitability anomaly cannot be explained by the aggregate volatility risk channel. The channel involves a mechanism wherein a real option, created by leverage, mitigates exposure to systematic risk during a recession especially when both aggregate and idiosyncratic volatility increase simultaneously. The profitability anomaly, observed when low-profitability firms outperform expectations during a recession, might be explained through this mechanism. In the Korean stock market, firms with low profitability often exhibit high leverage and high idiosyncratic volatility, contributing to the observed profitability anomaly during recessions. Empirical analysis incorporating the aggregate volatility risk as an additional factor in asset pricing models reveals a decrease in the abnormal returns of the profitability factor mimicking portfolio. However,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sensitivity of the aggregate volatility factor does not emerge. Consequently, we cannot conclusively attribute the profitability anomaly to the aggregate volatility risk channel.
한국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수익성 이상현상을 총변동성 위험 경로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없다. 총변동성 위험 경로는 총변동성과 기업의 고유 변동성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기침체기에 레버리지가 창출하는 실물옵션이 체계적 위험에 대한 익스포저를 감소시키는 경로이다. 총변동성 위험 경로가 작동하면 경기침체기에 수익성이 낮은 기업이 기대보다 수익성이 덜 하락하는 수익성 이상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한국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수익성이 낮은 기업이 레버리지가 높고 고유 변동성도 높은 경향이 있고 실제 경기침체기에 수익성 이상현상도 관찰된다. 그러나 실증분석 결과 기존의 가격결정 모형에 총변동성 요인을 추가로 고려할 경우 수익성 모방 포트폴리오의 비정상적인 수익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총변동성 요인의 민감도가 유의미한 값을 가지지 않으므로 수익성 이상현상이 총변동성 위험으로 설명된다고 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