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hared empathic process in music and social contexts: exploring empathic accurac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cross modalities and valence = 음악 연주와 사회의 정서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공감 비교 연구: 모달리티와 정서가에 따른 공감 정확도 및 심전도 반응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Shared empathic process in music and social contexts: exploring empathic accuracy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cross modalities and valence = 음악 연주와 사회의 정서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공감 비교 연구: 모달리티와 정서가에 따른 공감 정확도 및 심전도 반응을 중심으로 / Eun Ji O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195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CT 24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mpathy is a crucial element in human societies, playing a central role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fostering social bonds. Recent studies have explored shared emotional experiences in music performance by analyzing physiological synchrony, but there is a gap in research directly examining the continuous empathic proces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al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pathic processes in music and social situations by examining empathic accuracy and heart rate synchrony across different modalities (visual-only/audio-only/video-and-audio) and valence (positive/negative). Results from a multileve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mpathic accuracy for music and social situations, particularly when only visual information is presented. Repeated measures ANOVA also reveals that empathic accuracy in social situation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music situations, and in both contexts, auditory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higher empathic accuracy than visual information alone. The study identifies shared empathy processing mechanisms between music and social contexts, suggesting potential transfer effects of music education on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abilities.

공감(empathy)은 사회에서 대인간 의사소통을 하고 관계를 맺는 데에 필요한 핵심 요소로,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해 나타난다. 일상적인 사회적 상황 뿐만 아니라 음악 공연과 같이 사람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다양한 맥락에서 공감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여러 연구들이 음악 공연에서 사람들이 공유하는 정서적 경험을 생체 반응 간 동기화(synchrony)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나, 이때 공감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음악에서의 공감 과정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공감 과정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직접 확인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연주와 사회적 상황에서 관찰자 36명이 대상(연주자/화자)에 공감하는 과정을 공감 정확도(empathic accuracy)와 심박수 동기화를 통해 확인하고, 각각의 상황에서 관찰자에게 주어지는 감각 정보와 정서가에 따른 공감 반응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수준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음악에 대한 공감 정확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상황에서의 공감 정확도 또한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특히 시각 정보만 주어졌을 때 두 상황 간 연관성이 나타났다. 또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사회적 상황에서의 공감 정확도는 음악 상황보다 유의미하게 높으며, 두 상황 모두 청각 정보가 주어진 상황이 시각 정보만 주어진 상황에 비해 높은 공감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과 사회적 상황 간 공유하고 있을 공감 처리 메커니즘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음악 교육의 효과가 전이되어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4011
형태사항 iv, 35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오은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 M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경면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6-31
주제 Music and emotion
Empathy
Physiological synchronization
Modality
Valence
음악과 감정
공감
생체 반응 동기화
감각 정보
정서가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