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mphiphilic한 환경에서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가 갖는 구조에 관한 연구 = Structure of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amphiphilic environments
서명 / 저자 Amphiphilic한 환경에서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가 갖는 구조에 관한 연구 = Structure of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in amphiphilic environments / 류경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6].
Online Access 비공개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670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S 96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oCRF) is composed of 41 amino acids and amidated in C-terminus. It is suspected that long α-helix including amphiphatic helix is important for the functions of CRF. Two isodichroic point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FE titration CD curves, and this maybe results from existence of some unusual helices and random coils. CRF bound on PC SUV and CRF in MOPS buffer solution had about 20% of α-helix, but CRF bound on PS SUV had about 54% of α-helix. PS SUV containing 100 mM NaCl induced about 44% of α-helix. It is possible to group the all case of CD results into 3 classes according to α-helical contents of CRF. CRF in MOPS PC SUV solution had about 2 turns of α-helix, and CRF in SDS, sodium deoxycholate, and PS SUV containing NaCl CRF had 5 turns. Finally, maximum α-helical content of CRF was about 54% in PS SUV solution. These differences of α-helical contents didn't result from simple electrostatic interactions between negative charge of amphiphiles (SDS, sodium deoxycholate, PS) and CRF, because time-scale of these interactions was about more 5 minutes and CTAC miscelle which has positive charge also had the same result with SDS. According to CD experiments of CNBr-cleaved fragments, N-terminal fragment interacted with SUV more than C-terminal fragment. Unusually, N-terminal fragment had β-structure in MOPS solution.

Ovine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는 41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C-말단 부분이 amidation되어있다. CRF는 아미노산 서열상으로 amphipathic한 α-helix를 지니고 있는데, 이 부분을 포함하는 긴 α-helix가 CRF의 작용에 중요한 기본구조라고 추정되고 있다. TFE titration 결과에 의하면 CRF는 두개의 isodichroic 점을 갖지만 isodichroic 점의 파장이 α-helix와 random coil만이 존재할때 가지는 값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CRF가 가질수 있는 구조는 주로 α-helix와 random coil, 그리고 약간의 일반적이지 않은 α-helix나 random coil 이라고 추정된다. CRF는 PC SUV에 결합했을때와 MOPS buffer에서 약 20%의 α-helix를 가졌고, PS SUV에서는 약 54%에 해당하는 α-helix를 가졌다. 그리고 100mM NaCI을 포함한 PS SUV에서는 약 44%의 α-helix를 가졌다. CRF의 모든 CD 결과들을 기준으로 α-helix의 양에 따라 세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MOPS buffer와 PC SUV에서는 약 2-turns에 해당하는 α-helix구조를 나타내었고, SDS micelle, sodium deoxycholate micelle, 100 mM NaCI을 포함한 PS SUV에서는 약 5-turns에 해당하는 α-helix 구조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PS SUV에서 최대로 약 6-turns의 α-helix구조를 보여주었다. 양전하를 가진 CTAC micelle과 음전하를 가진 SDS micelle에서 CRF의 α-helix양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없는것과 CRF와 SUV와의 작용시간이 5분이상의 긴 반응시간을 가지는 것을 볼때, 이러한 여러 가지 amphiphilic한 환경에 따른 α-helix양의 차이는 단지 amphiphile들과 CRF의 표면적인 전기적 결합에 기인하지 않는다. CNBr로 자른 N-terminal fragment가 C-terminal fragment 보다 PS SUV에서 보다 많은 α-helix구조의 증가를 보여주었고, 특이하게도 N-terminal fragment는 MOPS buffer상에서 β-구조를 가졌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S 96009
형태사항 vi, 57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Kyoung-Sock Ryu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형만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young-Man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과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3-5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