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 – BAND: Extended range traffic signal coordination for public transit = E - BAND: 대중교통수단 대규모 신호연동모델
서명 / 저자 E – BAND: Extended range traffic signal coordination for public transit = E - BAND: 대중교통수단 대규모 신호연동모델 / Seongjin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169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T 22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studied a signal coordination model for public transportation, which travels on dedicated lanes but is affected by intersection traffic signals, to ensure continuous progress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 existing signal coordination model has limitations in the range of coordination. Since the coordination range is shorter than the actual public transportation route, it has to be divided into several coordination groups. As the PT vehicle stops at each intersect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coordination group, the control delay increases, and the average speed decreases. E-BAND eliminated the limitations of the signal coordination range by giving leeway for trajectory change of the PT vehicle. This research also presented a methodology for deriving the Maximum Capable Speed Profile from a given speed limit profile. The effectiveness of E – BAND was verified by applying it to the Daejeon tram line. The study sites are six sections with a long coordination range that the existing model represented by MAXBAND cannot coordinate. E – BAND successfully coordinated all six study sites with sufficient bandwid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BAND did not coordinate with sufficient bandwidth, and the coordination groups were divided into several subgroups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MAXBAND. E – BAND had a speed improvement of 10.94% in the outbound direction and 5.53% in the inbound direction compared to MAXBAND.

본 연구는 전용차선을 주행하며 교차로 신호의 영향을 받는 대중교통수단이 연속적인 통행을 보장받기 위해 실시하는 신호 연동 모델을 연구했다. 기존 신호 연동 모델이 연동 가능 범위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이 때문에 여러 개의 연동 그룹으로 나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주목했다. 대중교통 차량체는 그룹 경계면에 위치한 교차로마다 정차를 하면서 제어지체가 증가하고 평균 속도가 감소한다. E – BAND는 차량체 궤적 변경의 여지를 줌으로써 연동 가능 범위의 한계를 없앴다. 구간별로 달라지는 제한속도를 반영하는 Maximum Capable Speed Profile의 유도 과정도 제시되었다. E – BAND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시 트램 노선을 채택했고 실험 대상 지역은 MAXBAND로 대표되는 기존의 모델이 연동할 수 없는 6개의 긴 구간이다. E – BAND는 충분한 연동폭으로 6개의 구간 모두 성공적으로 연동을 했지만 MAXBAND는 충분한 연동폭으로 연동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 MAXBAND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개의 연동 구간으로 나눈 결과를 도출했고 E – BAND는 MAXBAND에 비해 진출 방향 10.94%, 진입 방향 5.53%의 속도 향상이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T 22006
형태사항 iv, 58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성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tae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기태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조천식녹색교통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6-57
주제 Transit signal priority
Signal coordination
Bandwidth
Tram
Signal optimization
MAXBAND
E - BAND
대중교통 우선신호
신호 연동
연동폭
트램
신호 최적화
MAXBAND
E - BAND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