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Role of Staufen1 in dsRNA expression and the regulation of dsRNA stability = Staufen1의 이중가닥 RNA 안정성 조절 연구
서명 / 저자 The Role of Staufen1 in dsRNA expression and the regulation of dsRNA stability = Staufen1의 이중가닥 RNA 안정성 조절 연구 / Yongsuk K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3].
Online Access 비공개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149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CBE 2302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aintaining RNA stability is critical to regulate gene expression for steady-state RNA expression level. Recently, several studies on RNA stability have been conducted. Nonsense-mediated mRNA decay (NMD) and Staufen1-mediated decay (SMD) are the two representative mechanisms for mRNA degrad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of mRNA stability is associated with mRNA decay, as well as RNA-binding proteins such as HuR protein as they are capable of binding to RNA transcript sequence and increase their half-lives. HuR protein binds to adenylate/uridylate-rich element (ARE) located at the 3′UTR of target mRNA and stabilizes the mRNA. In addition, among several types of non-coding RNAs (ncRNAs) that govern the stability of RNA, TINCR participates in stabilization of differentiation-related-genes in somatic tissues. Still, double-stranded RNA (dsRNA) stability is not fully elucidated. dsRNA can cause innate immune responses in human, and they are often known to originate from the viral genome. Recently, dsRNAs are known to be expressed endogenously, and they are highlighted as one of the main mediators to cause autoimmune diseases.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of dsRNAs in the context of autoimmunity, we need to study about the dsRNA stability and its related stability modulators, like dsRNA-binding-proteins and dsRNA nuclease.

RNA 안정성 조절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RNA를 분해하는 Nonsense-mediated mRNA decay(NMD)나 Staufen1-mediated decay(SMD)와 같은 기작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HuR 단백질의 mRNA stabilization과 같은 RNA stability를 높히는 단백질에 대한 여러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RNA 안정성 연구는 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중가닥 RNA라고 불리는 dsRNA의 안정화 조절 연구는 거의 알려져있지 않다. 이중가닥 RNA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되어 세포내에서 선천성 면역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있으며, 세포내에서 내재적 유전자로부터 생성되는 이중가닥RNA의 과발현으로부터 여러 자가면역질환 등이 유발된다고 보고되거나 이들의 특징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중가닥 RNA를 조절하는 연구에 있어서 이중가닥 RNA와 상호작용하여 여러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종류의 이중가닥 RNA 결합 단백질들의 연구가 필요하여, 이들 중에서도 이중가닥 RNA의 분해 또는 위치특이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스타우펜1 단백질의 이중가닥 RN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CBE 23029
형태사항 viii, 97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구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osi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유식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화학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89-92
주제 Staufen1
Double-stranded RNA
Double-stranded RNA binding protein
Viral dsRNA
Endogenous retrovirus
스타우펜1
이중가닥 RNA
이중가닥 RNA 결합 단백질
바이러스 유래 dsRNA
내재된 레트로바이러스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