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rporeal self-avatar recognition in virtual reality : a study on the self pop-out phenomen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motion synchrony and visual appearance congruency = 가상현실에서의 신체적 자기 아바타 재인: 자기 인지 특화 현상 관찰 및 동작 일치와 시각적 외형 일치의 영향력 비교
서명 / 저자 Corporeal self-avatar recognition in virtual reality : a study on the self pop-out phenomenon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motion synchrony and visual appearance congruency = 가상현실에서의 신체적 자기 아바타 재인: 자기 인지 특화 현상 관찰 및 동작 일치와 시각적 외형 일치의 영향력 비교 / Bowo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121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CT 2303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ability to distinguish oneself from others is considered one of the crucial indicators of self-recognition. As a result, various studies on self-recognit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cognitive science. However, with the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virtual worlds following the pandemic, self-recognition in the digital realm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self-identification with avatars in virtual reality (VR) through visual search and self-identification tasks. In Study 1, we examined the efficiency of processing one's own avatar based on the factors of avatar selection choice, embodiment experience, and the level of movement synchrony during the embodiment process, measured through reaction times. It was found that after experiencing a certain period of embodiment, individuals showed a pronounced self-recognition with their avatars compared to others' avatars. In Study 2,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visual appearance congruency and motion synchrony on self-avatar recognition using the self-identification task. It was revealed that during the task, particip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avatars that matched their own actions as more self-related than avatars that were embodied through the process of embodime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behavioral congruence rather than visual information in forming cognitive connections between avatars and user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on avatar-user relationships.

자기 자신을 타인과 구별하는 것은 자기를 인식하는 것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예로부터 심리학과 인지과학 분야에서는 자기인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팬데믹 이후 가상세계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지털 세계에서의 자기인식 또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에서 아바타 신체 대한 자기인식을 시각적 탐색 과제와 자기 동일시 과제를 통해 탐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자기 아바타 선택권과 체화 경험 유무, 그리고 체화 과정에서의 동작일치 정도에 따라 반응시간으로 측정된 자신의 아바타에 대한 처리 효율성을 확인함으로서, 통해 일정 시간의 체화 과정을 거치면 자신의 아바타가 다른 이의 아바타보다 두드러지게 인식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시각적 외형 일관성과 동작 일치가 자기 아바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자기 동일시 과제를 통해 탐구하였다. 실험 결과 체화 과정에서 마주했던 아바타보다 자신과 동작이 일치하는 아바타를 더 자신과 동일시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아바타와 사용자 사이에 인지적 유대가 형성되기 위해서 시각적 정보보다 행동 일치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뜻하며 향후 아바타와 사용자 간의 관계성 연구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3033
형태사항 v, 38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보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eongmi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정미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9-36
주제 Avatar
Self-recognition
Virtual Reality
Perception and Cognition
아바타
자기 인식
가상현실
인지와 인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