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compositio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indirect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16 Korean cities and provinces = 국내 16개 시도별 가정 부문의 전력 기반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 요인 분해 분석
서명 / 저자 Decompositio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indirect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16 Korean cities and provinces = 국내 16개 시도별 가정 부문의 전력 기반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 요인 분해 분석 / Min-Gyu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109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CE 23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consumption. Direct consumption is attributed to home-based heating, cooling, and appliance usage. On the other hand, indirect consumption is tied to household economic activities such as the purchasing of goods and services. Household indirect electricity consumption is evaluated as larger than direct electricity consumption and is expected to increase as household consumption levels increase. However, most previous domestic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direct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and associated emissions. The study expanded its scope by scrutinizing electricity-based indirect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household economic activity in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rom 2005 to 2015.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key drivers in the changes in household consumption-driven GHG emissions. Moreover, a comparison was drawn between the growth rates of indirect GHG emissions and personal income in each region to appraise potential decoupling.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indirect GHG emissions have risen nationwide, the changes vary across sectors and regions. As living standards improv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effect of increased residential consumption levels played a dominant role in increasing indirect GHG emissions. Interestingly, advancements in carbon intensity at the national level offset this growth to some extent. However, Chungnam, which implemented the country’s largest number of thermal power plants, failed to offset these indirect GHG emissions increment. Despite the reduction in household sizes in Korea contributing to a decrease in per-household GHG emissions, the overall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resulted in a net increase in total emission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trend toward shrinking household sizes contributes to increased GHG emissions. The decoupling analysis reveals that most regions are transitioning towards a decoupling phenomenon. However, certain regions, such as Chungbuk, Jeonnam, Gyeongbuk, and Ulsan, exhibited an ‘Expansive Negative Decoupling’ state from 2010 to 2015. This phenomenon indicates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indirect GHG emissions surpassed the growth rate of personal income, largely due to the effect of increased residential consumption levels. Consequently, prioritizing improvements in carbon intensity efficiency becomes crucial in these areas. Moreover, curbing residential consumption activity 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produced goods could als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reducing the impact of residential consumption on indirect GHG emissions.

가정의 전력 소비는 가정 내에서의 냉난방, 가전기기 사용 등에서 기인하는 직접적 소비와 재화 및 서비스 구매에서 기인하는 간접적 소비로 구분된다. 가정에서의 간접적 전력 소비는 직접적 소비에 대비하여 훨씬 규모가 크며, 가정의 소비 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향후 증가 속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국내 선행연구는 가정에서의 직접적인 전력 소비에 초점을 맞추었고, 간접적인 전력 소비 및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간과되어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내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2005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광역자치단체별 가정의 재화 및 서비스 소비로 인한 전력 소비에서 기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주요 온실가스 배출 증감 요인을 구조분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별 개인 소득 증가율 대비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을 비교하여 탈동조화 여부 및 정도에 관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지역별 증가 요인이 서로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국내 가정에서의 소비 증가가 주요 온실가스 배출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전국적인 탄소 집약도 개선을 통해 상당 부분이 상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구 구성원의 감소 효과는 온실가스 배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가구 수의 증가 효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증가량이 이보다 높아 결국 국내 가구의 소형화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탈동조화 분석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인 소득과 온실가스 배출 사이에서의 탈동조화 현상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울산, 경북, 전남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가정의 소비 규모 효과 증가로 인해 강한 동조화 현상을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23021
형태사항 iii, 73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민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a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하나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57-62
주제 Residential sector
Indirect electricity consumpti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ter-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Structure decomposition analysis
Decoupling analysis
가정부문
간접 전력소비
온실가스 배출량
지역산업연관분석
구조분해분석
탈동조화 분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