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Joint embedding space learning with a supervised contrastive loss for item categorization = 상품 분류를 위한 지도 대조학습 기반의 공통 임베딩 공간 학습
서명 / 저자 Joint embedding space learning with a supervised contrastive loss for item categorization = 상품 분류를 위한 지도 대조학습 기반의 공통 임베딩 공간 학습 / Junyoung Ryu.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061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IE 23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real-world, product classification is a significant task. It is because item categorization is combined with the financial element in the flow leading to manufacturers, distributors, sellers, and consumers. In addition, the process of managing products and categories by each company is a very labor-intensive task due to its large scale.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on product classification generally focused on feature extraction of products and categories and neglected the task of adjusting features in the learning process. Previous studies used product and category information, but there are some improvements. Because, in reality,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unlearned categories need to be classified. To solve this problem, we want to take advantage of the benefits of learning products and categories in the joint embedding space.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of finely adjusting feature vectors by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s and categories based on 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rather than simply projecting feature vectors into the same embedding space. We set up two scenarios depending on whether categories appeared in training data, and as a result, our proposed method produces better performance than general classification models.

현실에서 상품을 분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제조업체, 유통업체, 판매업체, 소비자로 이어지는 흐름 안에서 금전적인 요소와 결합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각 업체들이 상품과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과정은 큰 규모로 인해 매우 노동집약적인 업무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품 분류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상품과 카테고리의 특징 추출에 집중하고, 학습 과정에서 특징을 조정하는 작업에는 소홀했다. 선행 연구는 상품과 카테고리의 정보를 모두 활용했으나, 몇 가지 개선점이 있다. 현실에서는 학습하지 못한 카테고리를 분류해야하는 상황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품과 카테고리를 같은 임베딩 공간에서 학습할 경우 생기는 이점을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단순히 같은 임베딩 공간으로 특징 벡터를 투사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도 대조학습을 기반으로 상품과 카테고리의 관계를 학습하여 특징 벡터를 정교하게 조정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우리는 카테고리의 학습데이터 등장 여부에 따라 두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했고,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분류 모델보다 향상된 성능을 산출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23006
형태사항 iii, 21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류준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young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찬영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8-19
주제 Item categorization
Contrastive learning
Joint embedding space
Unseen class classification
상품 분류
대조 학습
결합 공간 임베딩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