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ny different fields around the world from the beginning of 2020, is also bringing attention to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Some people have difficulty accessing basic human rights such as education and health ca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mobility rights, and tried to quantitatively prove the extent to which infectious diseases affect unfairly according to the life pattern, location of each living area and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transportation means in Daejeon city. From the first to the third pandemic shock as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defines,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isruption and resilience of the system. Shock-recovery model of each pandemic phases were defined, representative parameters were derived from the passenger demand data specific to each route. Residents of regions that have limited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and a limited variety of available choices tend to demonstrate a reasonably high level of both flexibility and dependency.
2020년 초부터 2022년 12월 현재까지 계속 전 세계 다양한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COVID-19 판데믹 사태로 인해 교육권, 위생권 등 필수 인권에 접근하기 힘들어진 사회 취약 계층의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이동권에 초점을 맞추었고, 전염병이 대전광역시 각 생활구역의 생활 패턴과 위치, 대체 교통수단의 접근성 등에 따라 불공평하게 영향을 끼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한국 질병관리본부가 정의한 1~3차 대유행을 시스템 교란 및 회복탄력성의 관점으로 바라보았다. 각 대유행마다 충격-회복 모델을 수립 후 노선별 승객 수요 데이터로부터 대표적인 매개변수를 추출하였고, 다양한 조합 결과 대중교통 접근성과 선택지 다양성이 낮은 지역일수록 상대적으로 충격 상황에서도 높은 적응력과 의존도를 갖는다는 일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