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ep learning for NAND read bias decision = 극소수 읽기 시도 기반 최적 낸드 읽기 전압 결정 인공지능 기법 연구
서명 / 저자 Deep learning for NAND read bias decision = 극소수 읽기 시도 기반 최적 낸드 읽기 전압 결정 인공지능 기법 연구 / Sunyoung J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028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EE 23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NAND flash, which is used as a storage device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olution algorithms for high memory reliability. As the memory density increases, change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istortion of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occur, making it increasingly difficult to accurately read stored data bits from memory.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we aim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emory by applying an AI algorithm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deterioration. This paper proposes a deep learning-based read bias voltage estimation algorithm to accurately read data bits stored in NAND flash in response to the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distortion. The proposed algorithm has a two-stage decision structure that determines the read bias voltage after reconstructing the threshold voltage distribution based on sparse read trial information. After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that can express the shape of the entire distribution, we proposed a method of restoring the distribution by combining it with the read tri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ell exceeds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non-learning techniques using datasets collected from actual NAN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which predict read bias voltages quickly and accurately with only a few read trials, can significantly improve memory reliability when applied to actual NAND systems.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저장장치로 활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높은 메모리 신뢰도를 위해 솔루션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이 필수적이다. 메모리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물리적인 특성 변화와 문턱전압분포의 열화가 발생해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정확하게 읽어내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있다.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문턱전압분포 열화 대응 과정에서 A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메모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낸드 플래시의 문턱전압분포의 열화에 대응하며 낸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읽기 위해 딥러닝 기반 읽기 전압 결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희소 정보인 소수 읽기 시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턱전압분포를 복구한 뒤 이를 이용해 읽기 전압을 결정하는 2단계 결정 구조를 가진다. 전체 분포의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분포의 특성을 추출한 뒤 이를 소수 읽기 시도 정보와 결합해 분포를 복원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낸드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에 활용되는 비학습 기법들에 비해 높은 성능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수 읽기 시도 데이터만으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읽기 전압을 예측하는 제안 알고리즘들이 실제 낸드 시스템에 적용되면 메모리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EE 23010
형태사항 v, 51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조선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ekyun Mo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문재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기및전자공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45-47
주제 TLC NAND read bias decision
Vth distribution
Sparse data learning
Distribution reconstruction
Distribution feature extraction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Variational autoencoder
TLC 낸드 읽기 전압 결정
문턱전압분포
희소 데이터 학습
분포 복원
분포 특성 추출
비음수 행렬 분해
변분 오토인코더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