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Optogenetic modulation of TrkB signaling and study of the role in remote memory = TrkB 수용체 신호전달의 광유전학적 조절과 장기기억 강화 기여에 대한 연구
서명 / 저자 Optogenetic modulation of TrkB signaling and study of the role in remote memory = TrkB 수용체 신호전달의 광유전학적 조절과 장기기억 강화 기여에 대한 연구 / Jongryul Ho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4003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BS 2203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ptogenetic activation of receptors has advantages compared to chemical or ligand treatment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precision. Especially in the brain, using genetically expressed light tunable receptors is superior to direct infusion or systemic drug treatment. In chapter 1, we applied light activatable TrkB receptor, Opto-cytTrkB(E281A), in mouse brain with reducing basal activity by recruiting Cry2PHR(E281A) mutant and deleting extracellular domain to prevent it from unexpected activation by endogenous ligand. This form was sufficiently expressed in the mouse hippocampus and the cortex via viral gene delivery with highly sensitive toward blue light even non-invasive light stimulation fulfilling canonical signal transduction. Also, we demonstrated Opto-cytTrkB(E281A) can locally induce TrkB signaling in axon terminals in the MEC-HPC circuit.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Opto-cytTrkB(E281A) will be useful to elucidate the time- and region-specific role of TrkB signaling from cellular function to neural circuit mechanisms. It takes a long-time for the memory to be remote memory. The frontal cortex is thought to be the region where the old memory is recalled. However, the TrkB underlie the neural circuit remains to be elucidated. In chapter 2, we suggest that TrkB in neurons projecting the entorhinal cortex to prefrontal cortex is required to consolidate remote memory by increasing reactivity of mPFC cells. Furthermore, TrkB deletion devastated the experience-dependent maturation of oligodendroglia in the prefrontal cortex resulting in defect of remote memory, which was restored by clemastine administration. Together, our data suggest TrkB in the intercortical circuits served the remote memory consolidation.

수용체를 빛 활성화시키는 것은 뇌 연구에 있어서, 빛을 이용한 방법은 직접 주사 혹은 체순환 투여보다 매우 효과적이다. 첫 번째 챕터에서는 빛으로 활성 가능한 TrkB 수용체인 Opto-cytTrkB(E281A)를 단백질 변형체 적용과 세포 외 도메인을 제거 후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발현 시 생쥐 뇌에서 부작용 없이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이 형태의 발현은 빛에 매우 민감하였다. 또한 내후각피질-해마 신경회로 뉴런의 신경말단 부위를 빛으로 자극하여 수용체의 신호전달 기작을 유도할 수 있었다. 따라서 Opto-cytTrkB(E281A)는 신경회로 메커니즘 규명에 있어 시공간적으로 신호전달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음을 제시한다. 전두엽 피질의 장기기억 저장 역할에 대한 정확한 분자적 메커니즘은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다. 두 번째 챕터에서는 TrkB 수용체의 장기기억 강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이 수용체를 피질 간 신경회로에서 제거 시, 전두엽 피질에서의 신경세포의 재활성화가 줄어들었다. 또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생성과 성장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수용체의 뇌 피질 간 신경회로에서의 장기 기억 강화 메커니즘에 대해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S 22036
형태사항 ⅳ, 107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홍종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 Do He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허원도
수록잡지명 : "Optogenetic Modulation of TrkB Signaling in the Mouse Brain".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v.432.no.4, pp.815-827(2020)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생명과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02-106
주제 Axon
Entorhinal cortex
Neural circuit
Oligodendrocyte
Optogenetics
Prefrontal cortex
Receptor
Remote memory
TrkB
광유전학
내후각피질
수용체
신경말단
신경회로
희소돌기아교세포
장기기억
전두엽
TrkB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