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memory confidence in the hippocampus and prefrontal cortex = 해마와 전전두피질에서의 기억 확신에 관한 신경표상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the neural representation of memory confidence in the hippocampus and prefrontal cortex = 해마와 전전두피질에서의 기억 확신에 관한 신경표상 연구 / Taeh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99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IS 2102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Memory confidence is a metacognitive process that evaluates memory. Our responses or decisive actions can be facilitated or delayed depending on the level of memory confidence.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memory confidence is dissociable from memory accuracy and that the activity of the prefrontal cortex and medial temporal lobe is associated with memory confidence processes. However,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underlying memory confidence remains unclear. To address this, here we investigated memory confidence-related neural processing in the hippocampus and the prefrontal cortex, using event-relat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We found high confidence-specific neural representations in the CA3/DG and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vmPFC) for true memories but not for false memories. Moreover, overgeneralization of object representation i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and vmPFC was found when participants had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their false memor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the shared and differential neural substrates are utilized in the confidence processes of true and false memories, and that the confidence process of false memories is based on generalization processing in the prefrontal cortex while true memory confidence process is based on memory processing in the hippocampus.

기억 확신은 자신의 기억을 평가하는 메타인지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우리의 반응이나 결정행동은 기억에 대한 확신 수준에 따라 촉진될 수도 있고 유보될 수도 있다. 기존 연구는 기억 확신이 기억의 세기와 분리될 수 있는 과정임을 제안하고 있으며, 특히 전전두엽 피질과 내측두엽이 기억 확신 과정에 주요하게 관여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기억 확신이 실제로 어떠한 신경정보처리 과정을 기반으로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대상 자기공명뇌영상 실험을 통해 해마와 전전두피질에서 기억 확신의 기반이 되는 신경정보처리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제기억의 경우 높은 기억 확신에 특이적인 신경표상이 해마와 복내측전전두엽에서 발견되었으며, 가짜기억에 대한 확신이 높은 경우에는 배외측전전두엽과 복내측전전두엽에서 물체 정보 표상의 과일반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기억과 가짜기억의 확신 정보가 처리될 때 공유되는 신경기저와 차별적인 신경기저를 모두 사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실제 기억과 가짜 기억에서의 확신은 각각 기억 정보처리와 기억의 일반화 정보처리에 기반을 둘 가능성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IS 21026
형태사항 ii, 34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태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e-H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수현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바이오및뇌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30-32
주제 memory confidence
fMRI
neural representation
hippocampus
prefrontal cortex
기억 확신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신경표상
해마
전전두엽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