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spatial boundary on episodic memory in children = 공간에서의 경계가 아동의 일화 기억에 미치는 영향
서명 / 저자 Effects of spatial boundary on episodic memory in children = 공간에서의 경계가 아동의 일화 기억에 미치는 영향 / Yujin Ra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99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BIS 2102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cent studies found that both spatial and event boundaries can influence episodic memory formation in both children and adults. Furthermore, young children have been shown to be particularly sensitive to the physical property of boundaries, such as continuity and 3D-ness, in their spatial memory. Given that children's ability to map space using boundaries changes over development, we tested whether the effect of boundaries on children’s event memory also changes accordingly. Total 77 participants underwent the episodic memory task in the experimental setting with a boundary in the middle and three containers around the boundary to hide objects. Each child was asked to re-enact the sequential hiding events. Overall, we observ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general task performance over development; but underlying this overall pattern, we found an early-developing memory of sequential events occurring on the same side of a boundary, followed by the memory of sequential events that cross a spatial boundary. Moreover,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the wall-type boundary condition than the fence- or line-type boundary and especially the young children were more affected by the property of the boundary.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continuous, 3D boundaries serve as a clear boundary in children’s spatial navigati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imply that there exists an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nd episodic memory, which is particularly prevalent in young children whose spatial representations are still under development. We interpret these results to indicate the importance of hippocampal spatial representations in the organization of event memory.

일화 기억은 경험에 대한 기억으로, 사건이 있었던 시간과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일화 기억은 사건이 벌어진 공간의 특성 중 하나인 물리적 경계의 영향을 받는다. 인지 기능이 아직 발달 중인 아동이 일화를 어떻게 기억하는지와 공간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의 각 기능에 대해서는 활발히 연구되었고 공통적으로 해마 발달과 관련됨이 밝혀졌다. 하지만, 두 인지 기능 간의 상호작용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인지가 발달함에 따라 일화 기억 자체, 그리고 둘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7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물리적 경계가 있는 공간에서 위치의 순서를 기억하게 하였을 때, 아동들이 순서를 기억하여 재연하는 정확도가 월령에 비례하여 발달하였다. 또한, 경계 내에서의 순서에 대한 기억은 일찍 발달하는 반면, 경계를 넘어가는 순서에 대한 기억은 그 이후에 발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동들이 벽 형태의 경계가 있을 때 다른 형태의 경계보다 순서를 잘 기억했는데, 특히 어린 아동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마가 발달 중인 유아가 공간을 탐색할 때, 벽 형태의 경계만 명확한 경계로 인지한다는 선행연구와 맞닿아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에서와같이 아동에서도 공간 경계가 일화 기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며, 그 상호작용이 아동의 공간인지 발달 정도와 연관됨을 의미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IS 21025
형태사항 iii, 32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나유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ang Ah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상아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바이오및뇌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26-30
주제 Episodic memory
Spatial boundary
Event boundary
Hippocampal formation
일화 기억
공간 경계
사건 경계
인지 발달
해마형성체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