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Gender disparity in the experience of being hacked: A focus on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using Twitter data = 해킹당한 경험의 젠더 격차: 트위터 데이터와 세번째 레벨 디지털 격차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Gender disparity in the experience of being hacked: A focus on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using Twitter data = 해킹당한 경험의 젠더 격차: 트위터 데이터와 세번째 레벨 디지털 격차를 중심으로 / Ern Chern Khor.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98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STP 22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Hacking is an opening gate to cybercrimes by first gaining unauthorized access online. Millions of hacked accounts are traded underground and misused to steal money and spam malicious hyperlinks. A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hacking have been conducted in engineering disciplines especially on the detection of hacked accounts, while relatively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experience of being hacked from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being hacked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using Twitter data. Tweets in which users mentioned their accounts were hacked in the United State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1 were obtained (N=13,731 tweets). Topic modeling was applied on the data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Gender classification was also performed on user profiles. The results uncovered three main themes on the experience of being hacked: (a) types of services that hacked users used; (b) negative impacts experienced by users; and (c) coping strategies of users. A statistical analysis on 8,191 tweets by men and 5,261 tweets by women showed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an experience of being hacked in all types of services except gaming. Women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in reputational harm, money loss and affected use experience. Furthermore,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oping strategies. Men were more likely to perform active strategies like warning others not to click on fraudulent links, rebuilding and deducing hackers’ origins. Meanwhile, women were more likely to seek help from others and ask others to report the hacked accou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of a third-level digital divide by showing a gender gap in offline outcomes while experiencing online incident of being hacked. Several explanations were discussed on how this divide can be related to socially constructed attributes.

해킹은 온라인에서 허가받지 않은 권한을 탈취하여 사이버 범죄의 길을 열어준다. 수백만 개의 해킹당한 계정은 불법거래되어 돈을 훔치거나 악성링크를 유포하는 데에 사용된다. 해킹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다수는 해킹된 계정 탐지와 같이 공학분야에서 이루어진 반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해킹당한 경험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트위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킹당한 경험과 그 경험에서의 젠더 차이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2018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미국에서 자신의 계정이 해킹되었다고 언급한 트윗으로 구성하였다(N=13,731건의 트윗). 토픽 모델링을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적용하였고, 또한 사용자 프로필을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젠더별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해킹당한 경험을 다음과 같이 세가지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1) 해킹당한 사용자가 이용한 서비스 유형, (2) 사용자가 경험한 해킹의 부정적 영향, (3) 사용자의 해킹 대처전략. 남성 사용자의 트윗 8,191건과 여성 사용자의 트윗 5,261건을 통계분석한 결과, 여성이 게임을 제외한 모든 유형의 서비스에서 해킹당한 경험을 언급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여성 사용자는 남성 사용자에 비해 명예손실, 금전적 손실, 그리고 사용경험의 피해를 더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나아가, 대처전략에서도 젠더 차이가 드러났다. 남성은 다른 사람들에게 악성링크를 클릭하지 말라고 경고하거나, 계정을 복구하거나, 해커의 정체를 유추하는 것과 같이 능동적 전략을 취했다. 반면에, 여성은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해킹된 계정을 다른 사람들에게 신고해달라고 요청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해킹당한 온라인 사건의 오프라인 결과에 있어 젠더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세번째 레벨 디지털 격차’의 증거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격차가 어떻게 사회적으로 형성된 젠더 구조와 연결되어 있는 지 논의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22003
형태사항 iii, 73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허은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oon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문정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54-60
주제 hacking
cybercrime
gender disparity
third-level digital divide
Twitter
해킹
사이버범죄
젠더 격차
세번째 레벨 디지털 격차
트위터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