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시각적 캐릭터의 법적 성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visual character
서명 / 저자 시각적 캐릭터의 법적 성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visual character / 오병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94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IP 22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Visual character is generally regarded as an independently copyrightable one. Also Visual character is considered as a useful works of art mainly according to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term ‘replicability’ in the Korean Copyright Act. In this era of digital technology, there come lots of new intellectual creations of which characteristics are overlapping around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laws such as copyright, design patent, trademark and so on. And this trend is making it necessary to establish new channeling doctrines and rules instead of the traditional channeling method or general interpretation of each intellectual property laws. Especially in case of computer generated graphic designs, special consideration of channeling is necessary. As the possibility of the superposition of rights is higher, the screen design right can have the priority over copyright, consequently that copyright must be supplemental in the course of protection. On the other hand, computer generated graphic design right can be broadly protected by copyright for it has narrow protection range as a design patent. Of course, it must be born in mind that the protections by either the Trademark Act or the Prevention of Unfair Competition Act are also available.

캐릭터 중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시각적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독자적인 저작물성이 인정되고 있다. 시각적 캐릭터가 저작권법상 응용미술저작물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서는 응용미술저작물로서의 요건 중 주로 ‘복제가능성’이라는 문언을 중시하여 응용미술저작물성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현재 컴퓨터 그래픽 등의 디지털기술 발달에 따라 기존의 저작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의 보호영역에 걸치는 새로운 지적 창작물들이 다수 출현하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저작물의 요건이나 기존의 경계획정원리 등으로만 대처하는 것은 부적절한 측면이 있고,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응용미술저작물의 적용범위를 좁히는 등의 방안보다는 새로운 경계획정 및 경로 설정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화면・화상디자인과 같은 디지털 이미지 형태의 시각적 캐릭터에 관하여는 상대적으로 시각적 캐릭터와 중첩적인 보호영역이 큰 화면디자인의 경우에는 디자인권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저작권은 보충적인 성격으로 자리매김하고, 반면에 화상디자인의 경우는 디자인권으로서의 보호범위가 좁으므로 보호에 공백이 생기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작권에 의한 보호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디자인보호법 이외에도 상표법에 의한 중첩적 보호가 가능한 점과 보충적으로 부정경쟁방지법에 의한 보호도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P 22014
형태사항 ii, 85 p. : 삽도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Byung-Hie 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원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Hee Cho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성필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ng Pil Park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79-83
주제 시각적 캐릭터
저작권
응용미술저작물
분리가능성
기능성원리
화상디자인
Visual character
Copyright
Useful works of art
Separability
Functionality doctrine
Computer generated graphic design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