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가상 인간에 대한 소비자의 일차적인 반응과 그것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mers’ response to virtual humans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서명 / 저자 가상 인간에 대한 소비자의 일차적인 반응과 그것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mers’ response to virtual humans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 이민경.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91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IM 22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697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M 22006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response to advertisement models and other behavioral responses (e.g., purchase intent) in the context of virtual human models (i.e., computer graphics-generated models). Based on the literature (e.g., Waytz, Cacioppo, & Epley, 2010), an experiment was designed and conducted using Korean adults aged between 20 and 49, which is an age group with significant purchase power that many corporate target.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technique was conducted to answer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finding a number of significant results in many cases, though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certain independent variables. Nevertheless, as predicted based on Waytz et al. (2010), individuals higher in anthropomorphic tendency responded more positively to virtual humans. However, real human models were preferred in terms of positive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These results in terms of academic findings, and its managerial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marketing strategy, are discussed toward the end of this thesis.

본 연구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의 모델의 가상인간 (즉, 컴퓨터 그래픽기술로 디자인된 인물) 여부와 그에 따른 행태적 반응(구매의도 등)의 변화를조사하였다. 구매력이 매우 강하여 기업들의 마케팅 노력이 집중되는 연령대인20세~49세 사이의 한국인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문헌 (e.g., Waytz, Cacioppo, & Epley, 2010)을 토대로 실험이 설계되었다.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가설들 및 연구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한 결과,비록 독립변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독립변인들이 종속변인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확인되었다. 특히, Waytz et al. (2010)의 연구에 기초하여 예상했던 대로개인의 의인화 경향(anthropomorphic tendency)이 강할수록 가상인간에 대한반응도 더 호의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이미지와구매의도에는 실제 인간 모델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현상이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이 가지는 학술적 의미와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라는관점을 중심으로 한 실무적 의미 등은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논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M 22006
형태사항 iii, 40 p. : 삽도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kyung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병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ho Park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0-32
주제 가상인간
버츄얼 휴먼
메타휴먼
의인화
의인화 경향
Virtual Human
Digital Human
Meta Human
Anthropomorphism
Anthropomorphic tendency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