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Online character motion adaptation to similar indoor environments = 유사한 구조의 실내 환경으로의 온라인 캐릭터 모션 적응
서명 / 저자 Online character motion adaptation to similar indoor environments = 유사한 구조의 실내 환경으로의 온라인 캐릭터 모션 적응 / Soojin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6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CT 2201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the advance of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ies, the demand for people in different spaces to communicate through avatars has increased. When a remote user is augmented as an avatar in a local space, the avatar is expected to move around and interact with objects in the local space following the remote user’s movements. Due to the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two spaces, the remote user’s motion should be adap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ocal space. To achieve this, we propose the environment mapping function that defines the correspondences between two spaces. Given the remote user’s placement, we determine the avatar’s global placement using the environment mapping function. Following the basis of the existing approaches, we estimate the adjustment level for each joint and determine the desired joint positions where the avatar can preserve the context of the original motion. Then with the proposed optimization-based motion adaptation scheme, we adjust the remote user’s pose so that the avatar can naturally interact in the local sp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laces the avatar in spatially appropriate placements, and ensures natural interaction with local objects which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shapes with remote objects.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for the real-time telepresence applications.

증강현실 기술의 발달로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사람들이 아바타를 통해 소통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원격 공간에 있는 사용자가 아바타의 형태로 증강될 때 해당 아바타는 원격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공간 내부를 이동하며 사물과 상호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때 두 공간의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원격 사용자의 동작은 증강되는 로컬 공간의 구조에 맞게 적응되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두 공간 사이의 대응을 정의하는 환경 매핑 함수를 제안한다. 해당 매핑 함수를 이용해 원격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로컬 공간에서 아바타의 위치를 결정한다. 더불어 기존 연구들의 방식을 활용하여 각 관 관절이 조정될 정도를 추정하고, 아바타가 원본 동작과 의미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로컬 공간의 구조를 고려해 아바타의 관절 위치를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을 통해 원격 사용자의 동작을 로컬 공간에 대해 적응시킬 때 아바타는 공간적으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모양이 다른 사물에 대해서도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실시간 텔레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2017
형태사항 iv, 34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수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yong N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준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31-32
주제 Character animation
motion adaptation
motion retargeting
avatar-object interaction
telepresence
캐릭터 애니메이션
모션 적응
모션 리타게팅
아바타-사물 상호작용
텔레프리즌스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