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ffects of avatar face level of detail control on social presence in augmented reality remote collaboration = 증강현실 기반 원격 협업에서의 아바타 얼굴 그래픽 세부 수준 조절이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서명 / 저자 Effects of avatar face level of detail control on social presence in augmented reality remote collaboration = 증강현실 기반 원격 협업에서의 아바타 얼굴 그래픽 세부 수준 조절이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Seoyoung K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5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CT 22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explored how avatar face Level of Detail (LOD) and task types affect users’ social presenc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AR environments. In Mixed Reality (MR) remote collaboration, users are represented as avatars, and an actual user’s appearance inevitably changes. While certain situations require an avatar that resembles a user, it is challenging to reconstruct everything realistically due to its high cost. Since facial parts show relative significance compared to body parts, we proposed controlling face LOD as an approach to lowering the cost while maintaining a social presence in AR environments. Our results showed that while Mid-LOD maintains a social presence, reducing costs compared to High-LOD, Low-LOD negatively impacts social presence mainly due to emotional understanding. Based on our findings,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1) considering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al understanding in managing avatar face LOD, 2) figuring out the collaboration context with different effects of tasks and communication behaviors, and 3) providing additional communication cues for maintaining social presence while lowering the cost.

본 연구는 AR 원격협업 내 아바타 얼굴 그래픽 세부 수준과 과업 유형이 사용자의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가상증강현실 기반 원격협업 내 유저와 닮은 사실적인 아바타 표현 시 겉모습의 변형 혹은 생략이 불가피하며, 비용 측면을 고려했을 때 모든 것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얼굴의 경우 신체 부위 대비 상대적 중요성을 띄기 때문에, 사회적 실재감을 유지하며 비용을 낮추는 접근으로 얼굴 그래픽 세부 수준 조절을 제안했다. 연구 결과, Mid-LOD는 High-LOD대비 낮은 비용을 요구하는 한편 사회적 실재감은 유지되었다. 반면 Low-LOD는 감정 이해의 어려움으로 인해 소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다른 두 조건 대비 낮은 사회적 실재감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1) 아바타 얼굴 그래픽 세부 수준 조절 시 표정 및 감정에 대한 고려, 2) 상이한 과업 유형과 소통 양식을 가진 협업 맥락 파악, 3) 비용을 낮추면서 사회적 실재감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커뮤니케이션 큐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종합하여 이 연구를 통해 비용 효과성을 고려한 실시간 아바타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기여하고자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22009
형태사항 iii, 26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강서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ntack Wo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우운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2-24
주제 Avatar mediated Communication
Mixed Reality Remote Collaboration
Augmented Reality
Social Presence
아바타 매개 커뮤니케이션
MR 원격협업
증강현실
사회적 실재감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