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impact of climate-related physical risk on agriculture in Korea under the national self-sufficiency policy =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이 한국 농업에 미치는 영향 평가: 자급 정책 도입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The) impact of climate-related physical risk on agriculture in Korea under the national self-sufficiency policy =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이 한국 농업에 미치는 영향 평가: 자급 정책 도입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 Seulki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4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BPP 22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652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BPP 22008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climate-related physical risk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agricul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as a source of food and income. International trade has emerged as a buffer against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but trade has recently failed to function, such as an export ban for domestic food security in the country. For countries that rely heavily on trade, policies are necessary to protect their agriculture from changes in crop productivity and trade patterns caused by climate change. This study conducts the assessment of climate impact in consideration of (1) the direct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Korea,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imports, (2) the indirect impact of global agricultural changes on domestic agriculture through trade, and (3) the interactiv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self-sufficiency policies. Applying the crop yield shock in a GCAM-AgLU highlights several important consequences of climate impact. First, the impact of domestic climate change would be overwhelmed by the impact of global climate change in terms of all market measures. Second, global climate change gives either positive (rice and wheat) or negative impacts (soybeans) on producer revenues but unilaterally increases consumer expenditures on both staples and nonstaples. Third, introducing the self-sufficiency measures for wheat and soybeans only intensifies the positiv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roducer revenues at the expense of modest increases in consumer expenditures on both staples and nonstaples.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은 인류의 식량원이자 소득원인 농업에 변화를 가져왔다.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완충역할로서 국제무역이 대두되었지만 최근 자국의 식량안보를 위해 수출을 제한하는 등 무역이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무역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 생산성 변화와 무역 패턴의 변화로부터 자국의 농업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입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농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가 농업 생산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무역을 통해 전세계적인 농업의 변화가 국내 농업에 전달되는 간접적인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농업 보호 정책으로 자급정책을 고려하여 기후변화의 농업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은 곡물에 따라 생산자의 수입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만, 소비자의 지출은 일관되게 소폭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자급정책의 도입은 기후변화의 긍정적인 영향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생산자의 수입을 증가시켰다. 소비자의 지출 역시 증가하였지만 생산자 수입의 증가폭에 비해 그 수준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BPP 22008
형태사항 iv, 43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슬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yong Eo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엄지용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녹색경영정책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30-35
주제 Climate-related physical risk
Agricultural trade
Self-sufficiency policy
Integrated assessment model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
농산물 무역
자급정책
통합 평가 모형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