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Global migration 1995-2020 : cross-sectional dyadic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non-environmental drivers = 국제이주의 환경적, 비환경적 요인: 1995-2020년의 횡단면 분석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Global migration 1995-2020 : cross-sectional dyadic analysis of environmental and non-environmental drivers = 국제이주의 환경적, 비환경적 요인: 1995-2020년의 횡단면 분석을 중심으로 / Carine Louise Valarch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4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GBPP 22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1653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BPP 22006 c. 2

도서상태

대출중(예약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2024.05.27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tion rate and impacts of environmental change, measured through slow-onset climate change and fast-onset natural disasters. For the period 1995-2020, 183 countries are analysed through two cross-sectional analyses which allows for both time-series and cross-country variation in immigrant inflows. Non-environmental drivers are controlled for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n migration rates of demographic,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factors. The dyadic nature of the analysis allows for a close examination of patterns across pairs of countries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Results show food- and water-related vulnerability and exposure to natural disasters are most important when compared to infrastructure-related vulnerability in determining environment-induced international migration flows. This research substantially improves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induced migration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 in impact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based on their slow- or fast-onset nature. It highlights that transnational mobility remains an adaptive mechanism primarily employed by more wealthy countries and signals the important role of internal migration within climate mobility research.

본 논문의 목적은 기후변화 및 급격한 자연재해로 측정되는 환경변화가 국제 이주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 양자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는 1995-2020년의 기간동안, 183개 국가를 두 개의 횡단면 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기후와 무관한 요인은 인구통계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변수를 통제변수화시킴으로써 통제되었다. 또한, 국제이주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명확히 구분하는 분석의 이원화를 통해 여러 국가들의 이주패턴을 보다 면밀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했다. 본 연구 결과는 식량 및 용수의 취약성과 자연재해에 대한 노출요인이 국제이주를 결정하는 환경요인에 있어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요인에 비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진행 속도가 각각 다른 환경 변수들 간 영향력의 차이를 보여줌으로써 환경이 야기하는 국제이주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는 초국가적 이동이 주로 상대적으로 부유한 국가들에게서 이루어지는 적응 매커니즘이라는 점과, 환경이주 연구에서 국가 내부 이주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BPP 22006
형태사항 ii, 55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카린 루이스 발라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Euncheol Shi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신은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녹색경영정책프로그램,
서지주기 References : p. 32-42
주제 International Migration
Cross-sectional Analysis
Drivers
Climate Change
국제이주
횡단면 분석
요인
기후 변화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