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impact of limiting negative ratings on review systems: The case of Naver Place = 부정적 평가의 제한이 리뷰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플레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The) impact of limiting negative ratings on review systems: The case of Naver Place = 부정적 평가의 제한이 리뷰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플레이스 사례를 중심으로 / Hanseol Choi.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2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BTM 2202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plores the impact of limiting negative ratings on review systems. An online review system helps consumers spend wisely by referring to previous users’ evaluations. However, adverse effects that exploited these characteristics have frequently occurred. As the criticism of this continued, the largest portal site in the Republic of Korea abolished the star rating review system and introduced a new keyword review system. The previous star rating system all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atings through the number of stars, but the newly introduced keyword review system only has a choice among keywords provided by the platform, and users cannot select negative keywords. So, this policy change limits the method of negative ratings in the review system. Because some consumers would like to write reviews to share their negative experiences, this change may influence their ratings. Therefore, this thesis analyses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abolishing the star rating review system.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thesis will help other platforms make decisions about their review systems in the future. In addition, we hope to facilitate discussions on ways to minimize misuse of the consumer review systems and block negative ratings.

본 학위논문은 사용자의 부정적 평가 제한이 온라인 리뷰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구한다. 온라인 리뷰는 소비자들이 이전 사용자들의 평가를 참고하여 더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을 악용한 부작용들이 많이 발생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자, 한국 최대의 포털 사이트에서는 별점 시스템을 폐지하고 키워드 리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기존의 별점 시스템은 별의 개수를 통해 긍정, 부정 평가가 모두 가능했지만, 새로이 도입된 키워드 리뷰 시스템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키워드들 중에서만 선택할 수 있을 뿐, 부정적 키워드를 작성할 수 없어 부정 평가 방법에 제한이 생겼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업장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며 느낀 부정적 경험을 공유하고자 할 때 이러한 리뷰 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은 포털 사이트의 리뷰 시스템 정책 변화 전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여러 플랫폼들의 리뷰 시스템에 관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또한, 부정적 평가 자체를 차단하는 방법 외에 소비자 리뷰 시스템의 오남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TM 22020
형태사항 iii, 23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최한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20-21
주제 eWOM
Online review
Star ratings
Negative evaluation
Number of reviews
온라인 구전
온라인 리뷰
별점
부정 평가
리뷰 수
QR CODE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