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impacts of carbon neutrality transition pathways on coal and gas generation stranded assets in Korea = 우리나라 탄소중립 이행 양상이 석탄 및 가스발전 좌초자산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명 / 저자 (The) impacts of carbon neutrality transition pathways on coal and gas generation stranded assets in Korea = 우리나라 탄소중립 이행 양상이 석탄 및 가스발전 좌초자산에 미치는 영향 평가 / Dawoon J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71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MBTM 2201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lobal efforts are continuing to reduce greenhouse gases to mitigate various risks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and in joining the move, South Korea has declared its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2050. Achieving carbon neutrality requires a rapid transition in the energy sector where emissions are dominant. For energy transition, carbon-intensive energy sources in the power sector should be replaced with renewable energy sources or negative emission technologies,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risk, such as generating stranded assets in fossil fuel plants. However, research on integrated assessment and analysis of changes in the power sector and the risk of stranded assets that will occur due to the introduction of carbon neutrality policie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n plant investors and consumers by analyzing additional stranded assets and energy expenditures in the residential building sector depending on the strictness and timing of the carbon neutrality policy compared to current climate policy. Studies have shown that stranded assets in both coal and gas plants are the largest in the NZ_med scenario when policies are introduced at midpoint and the least in the NZ_low scenario when policies are introduced at early stage. This result suggests that effort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re needed from now on to reduce the damage to stranded assets and is expected to be used by investors to make investment decisions in fossil fuel-based power plants.

기후변화에 따른 각종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세계적인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여 한국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선언했다.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은 배출량이 지배적인 에너지 부문의 신속한 전환을 필요로 한다. 에너지 전환을 위해 전력 부문의 탄소 집약적인 에너지원을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 또는 탄소 흡수/상쇄 기술로 대체해야 하며, 이러한 전환은 화석 연료 발전소의 좌초자산을 발생시키는 것과 같은 위험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탄소중립 정책 도입시기에 따라 발생할 전력부문의 변화와 좌초자산의 위험을 통합평가하여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연구는 현 기후 정책 대비 탄소중립 정책의 엄격성과 도입 시기에 따라 석탄 및 가스 발전소에서 추가적으로 발생할 좌초자산과 가정용 건물 부문의 에너지 지출을 분석함으로써 발전소 투자자와 전기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석탄 발전소와 가스 발전소의 좌초자산은 모두 중간 시점에 정책이 도입되는 NZ_med 시나리오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른 시점에 정책이 도입되는 NZ_low 시나리오에서 가장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좌초자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금부터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이 화석연료 기반 발전소에 대한 투자 결정을 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BTM 22016
형태사항 iv, 36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정다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yong Eo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엄지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33-35
주제 Carbon neutrality
Transition risk
Stranded asset
Energy expenditure
Integrated assessment model
Coal power plants
Gas power plants
탄소중립
전환리스크
좌초자산
에너지 지출
통합평가
석탄 발전소
가스 발전소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