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alysis on serviceability of subway stations for design & operation = 도시철도 정거장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서비스 기능성 분석
서명 / 저자 Analysis on serviceability of subway stations for design & operation = 도시철도 정거장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서비스 기능성 분석 / Jaehwa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59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GT 22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ince subway network performs as a backbone in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its stations function as transit hubs connecting with other modes. As passengers can use subway services only through visiting the stations, the most fundamental role of the stations is working as a medium for passengers’ boarding and alighting by managing vehicular departure and arrival. In spite of this importance, while the previous studies and policies focused on the vehicular operation in operators’ perspectives, there have been still inconvenience and danger for passengers inside and around subway stations during access for service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fined the serviceability constituents of subway stations in the point of view by passengers’ trip inside and around them. From the definition, author conducted the duration modeling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ing) and count – data model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 base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causality between representative measurement indices and their influential factors for each serviceability element. Using the results by these statistical estimations the research suggested the infrastructural implications targeting each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 of subway st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moving inside subway stations, safety derived from the process, access by walk or bike, and intermodal connection from buses, are all explainable mainly by the elapsed time or injury event occurrences. In addition, these measurement indices are dependent to the related human or built environmental factors inside and around the stations. Intermodal or mechanical means to narrow this spatiotemporal gap between visiting passengers and the stations due to the fixed architecture determines the promptness and safety level consequently. Based on the findings, author proposed the concrete implications corresponding to each design and construction procedure, with considering various exterior constraints against construction authorities and operators. This study also proposed the foundational framework to check the financial feasibility of infrastructural improvement alternatives and action planning in detail.

도시철도가 대도시권 교통망의 핵심 축으로 기능함에 따라 도시철도역은 해당 축 상에서 타 교통수단과 연계된 결절점으로 기능하고 있다. 모든 승객은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해 반드시 역을 거쳐야 하므로, 도시철도역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차량의 출발과 도착으로 승객의 승·하차와 환승을 다루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도시철도 기능성에 관한 기존 연구는 차량 운행 체계의 기술적 개선에 초점을 맞춰, 도시철도를 이용하고자 역사를 찾는 승객의 불편과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역 안팎의 승객 통행 관점에서 도시철도역의 기능성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를 정의하고, 그 영향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가속고장시간모형 기반 생존 분석과 음이항 분포 기반 회귀분석으로 도출하여 향후 역사 설계 및 건설 후 운영과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승·하차를 위한 역내 이동과 그 과정에서의 안전, 출발지에서의 도보나 자전거를 통한 역사에의 접근과 버스로부터의 환승 연계를 대변하는 소요시간과 사고 건수는 모두 역사 안팎의 인적 요인과 도시 및 건축 환경에 좌우되며, 이러한 고정적 요인에 따른 시공간의 간극을 좁히는 데에 활용되는 교통수단과 승강설비 등의 효과에 따라 이동의 쉽고 빠르며 안전한 정도가 결정됨을 발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시철도 역사 설계 및 건설 절차와 근거 제도 및 단계별 외부 제약을 고려하여 기능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의 정량적 타당성 검토 및 세부 적용 방안을 구상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T 22003
형태사항 vii, 195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재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itae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기태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78-193
주제 Subway
Subway stations
Mobility
Safety
Accessibility
Connectivity
Accelerated failure time model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도시철도
도시철도역사
이동성
안전성
접근성
가속고장시간모형
음이항 분포 회귀분석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