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new pathway to job crafting : the role of gratitude, perceived responsiveness, and prosocial motivation = 잡크래프팅의 새로운 프로세스 연구: 감사, 인지된 반응성, 친사회적 동기의 역할
서명 / 저자 (A) new pathway to job crafting : the role of gratitude, perceived responsiveness, and prosocial motivation = 잡크래프팅의 새로운 프로세스 연구: 감사, 인지된 반응성, 친사회적 동기의 역할 / Ye Ka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47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BTM 22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ince jobs are dynamically embedded in a social context, job crafting is often inspired by socio-emotional experiences that spur individuals to seek greater meaning in their profession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argely overlooked socio-emotional aspects of job crafting. Using find-remind-and-bind theory, this research elucidates the mechanism whereby gratitude works as a critical emotion that activates job crafting. Study 1 is an experiment that manipulated feelings of gratitude and tested gratitude’s effect on job crafting through perceived responsiveness and prosocial motivation. Study 2 replicates Study 1’s findings with a two-week daily diary study. The overall results support a serial mediation model in which gratitude facilitates the perceived responsiveness of coworkers, which in turn increases prosocial motivation and, subsequently, job crafting. Our results remain consistent after controlling for positive affect. By linking gratitude to job crafting and unpacking the underlying prosocial elements at play, our work highlights a unique, affectively driven pathway to job crafting with meaningful practical implications.

직업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교류가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수행된다. 이에 잡크래프팅은 자신의 전문적인 역할과 책임에서 더 큰 의미를 찾도록 자극하는 사회적 혹은 정서적 경험으로 인해 촉진되기도 한다. 하지만 기존 문헌에서 잡크래프팅의 사회/정서적 선행 요인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Find-remind-and-bind 이론을 사용하여 감사라는 친사회적인 감정이 잡크래프팅을 장려하는 주요한 선행 요인이라는 점과 이 둘 사이 관계의 메커니즘을 탐구한다. 스터디 1에서는 감사라는 감정을 유발하는 실험적 기법을 활용하여 감사가 동료를 반응성이 좋다고 인식하는 것과 친사회적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한다. 그리고 감사가 최종적으로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테스트한다. 스터디 2에서는 2주 간의 일일 일기 연구를 수행하여 스터디 1의 결과를 확증한다. 분석 결과, 감사는 자신의 동료들이 반응성이 좋다고 인지하게 만들고, 이어서 자신의 친사회적 동기를 상승시키며, 최종적으로 잡크래프팅을 증가시키는 연속 매개 모델을 확인하였다. 이 매개 모델은 긍정 감정을 통제한 후에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 감사의 고유한 영향력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감사를 잡크래프팅과 연결하고, 그 관계가 친사회성을 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문헌에 공헌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TM 22009
형태사항 iii, 42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예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ji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수진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29-37
주제 gratitude
job crafting
responsiveness
prosocial motivation
감사
잡크래프팅
반응성
친사회적 동기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