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udies on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and company : focusing on research autonomy and ESG management = R&D 투자가 국가 및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구 자율성과 ESG 경영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Studies on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and company : focusing on research autonomy and ESG management = R&D 투자가 국가 및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연구 자율성과 ESG 경영을 중심으로 / Seung-Chul Bae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2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947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도서관)2층 학위논문

DBTM 22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innovation capabilities of countries and companies and strengthen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For this reason, many countries and companies are actively investing in R&D, but it is not easy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With the increase of the government R&D budget, the issue of R&D investment efficiency is constantly being presented, bu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reveal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je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D activities. In addition, in a situation where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based on ESG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more than ever, the analysis of the synergy effect between corporate R&D investment and ESG management is insufficient and does not provide a clear answer. This paper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R&D investment efficienc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R&D investment performance and synergy effects, which are currently an issue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companies. In the first essay, we analyzed how professional autonomy (PA) and project commitment (PC) affect R&D investment efficiency through a study on the impact on R&D performance at the national R&D level. Countries with low technology levels have narrowed the technological gap with developed countries through continuous and strategic R&D investment. However, inefficient R&D with low performance is among the chronic problems of these countries. While factors such as budget, manpower, and operational process influence R&D innovation output (IO), the autonomous R&D climate and commitment in projects are also essential.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A and PC on the performance of 1,063 government-funded R&D projects in Korea. Our results indicate that PA improves R&D IO in the research planning stage. Additionally, PC has a negative effect on R&D IO, but there ar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both large firm involvement and project duration and R&D performance. This study has a great academic contribution in that it newly defined the variables of autonomy and commitment and verified their effects on government R&D performance. In other words, PA and PC were measured through the data obtained in the R&D planning and execution proces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survey method. In addition, this study on research autonomy and commitment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D projects in countries that are transitioning from catching up to leading in R&D. In the second essa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performance,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in corporate management, and R&D investment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CFP).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management has become essential for corporations to grow sustainably at a time when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rotection, human rights, and transparent management have become important global issues. However, research findings on the impact of ESG management on CFP are inconsistent, and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sia and developing countries that plan to introduce ESG management. In addition, although R&D invest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ESG management,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ESG management, and CFP.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ESG performance on the return on assets (ROA) by using panel data combining ESG rating and financial data of Korean companies and whether R&D investment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SG performance and ROA.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SG perform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CFP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heavily polluting industries (HPI). Second, R&D investment has no significance on CFP, but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exists between environmental (E) and social (S) performance and CFP. ESG management could be a stepping stone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companies if it promotes active ESG management from a mid-to-long-term perspective and creates synergy between R&D investment and ESG activities. In this study, we could not confirm the positive effect of ESG management on CFP. However, from a mid-to-long-term perspective, if a company can actively promote ESG management and draw synergies between R&D investment and ESG activities, then ESG management can be a stepping stone for a firm's sustainable growth.

R&D 투자는 국가 경쟁력 및 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국가와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R&D에 투자하고 있지만 원하는 성과를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부 R&D 예산의 증가와 함께 R&D 투자효율성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R&D가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성공요인을 밝히고 이를 적용하는 데는 많은 한계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ESG를 근간으로 하는 사회적 책임 경영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의 R&D 투자와 ESG 경영간의 시너지 효과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고 명확한 답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한국 정부 및 기업에게 큰 이슈가 되고 있는 R&D 투자 성과 및 시너지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R&D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첫 번째 에세이 에서는 국가 R&D 차원에서 R&D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문가 자율성과 프로젝트의 몰입도가 투자 효율성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 기술 후진국들은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R&D 투자를 통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히고 세계 일류 제품을 개발하는 등의 큰 성과를 달성했다. 하지만 R&D 투입 대비 성과가 낮은 비효율적 R&D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예산, 인력 및 운영 프로세스 등과 같은 요인도 있지만 연구 자율성과 프로젝트에 대한 몰입도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정부에서 투자한 1,063개 산업기술 R&D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전문가 자율성과 프로젝트에 대한 몰입도가 연구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가 자율성은 연구기획 단계에서 R&D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젝트 몰입도는 자체적으로 R&D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대기업의 프로젝트 참여 및 프로젝트 기간과 R&D 성과 사이에서 양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문가 자율성을 설문조사를 통한 방식이 아닌 R&D 프로젝트 기획단계에 참여하는 전문가에게 주어지는 자율성의 정도를 기준으로 측정한 점 그리고 프로젝트 몰입도를 민간 기업이 R&D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매칭 펀드 비율로 정의하는 등 자율성과 몰입도 변수를 새롭게 정의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기여도가 크다. 또한 정부 R&D 사업에 대한 연구 자율성과 몰입도의 영향에 관한 본 연구 결과는 추격형 R&D에서 선도형 R&D로의 전환기에 있는 국가들에게 R&D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두 번째 에세이 에서는 최근 기업 경영의 화두가 되고 있는 ESG 경영 성과와 R&D 투자 및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 하였다. 기후변화 및 환경보호, 인권보장 및 투명경영 등이 중요한 글로벌 이슈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하지만 ESG 경영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분분하며, ESG 경영의 도입기에 있는 아시아 및 개발도상국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R&D투자가 ESG 경영에 큰 영향 미침에도 불구하고 R&D투자, ESG 경영 및 기업의 재무적 성과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기업의 ESG 성과 자료와 재무 자료를 결합한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ESG 성과가 기업의 재무적 성과(RO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그리고 R&D 투자가 기업의 ESG 성과와 ROA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 하였다.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첫째, ESG 성과는 ROA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경민감산업의 경우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R&D 투자와 ROA 간에는 유의미한 통계적 의미가 없었으나, R&D 투자는 환경성과 (E) 및 사회성과 (S)와 ROA 사이에서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ESG 경영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 할 수는 없었으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적극적인 ESG 경영을 추진하고 R&D투자와 ESG 활동 간의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면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BTM 22007
형태사항 viii, 75 p. : 삽도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백승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uk Hee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덕희
수록잡지명 : "Role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roject commitment in the Korean government–funded R&D projects". Science and Public Policy, v.49, pp.1-17(2022)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62-73
주제 연구 자율성
몰입도
국가 R&D
자료포락분석
매칭 펀드
기업재무성과
ESG
R&D 집중도
R&D 효율성
환경오염산업
Research Autonomy
Commitment
National R&D
Data Envelopment Analysis
Matching Fu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ESG
R&D Intensity
R&D Efficiency
Heavily Polluting Industry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