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firms to maintain sustainability, they need to form strategies to respond promptly to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cluding the emerging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are the driving forces that can satisfy these needs.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refers to developing, producing, and selling products using new technologies or by improving the existing related technologies in the aforementioned series of processes. From a field perspective,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refers to transferring technology or starting a business to implement the potential value of technology created through R&D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It may also refer to the entire process of creating economic value by applying the transferred technology to product or process innovation and utilising it in the market.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domains according to the entity of innovation activity.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is a method of improving firm performance by diffusing technologies developed by public research organisations or universities to the private sector. On the other hand, private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refers to firms’ self-reliant strategies for expanding profits in the form of diverse, innovative activities such as technology development, investment attraction, and product and service creation and sales.
As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is a strategy that can lead to economic growth by efficiently utilising national resources through public and private cooperation, its need is gradually expanding. Therefore, awareness of its importance has increased, along with its continuous academic study. However, the main topics of prior studies were limited to analyses of the success of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or the impact of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on firm performance. Additionally, former studies used financial data from firms that were the primary commercialisation agents, as well patent data of technologies representing innovation for quantitative analysis. However, there was a limit in drawing practical implications because empirical data from the field could not be used.
This dissertation seeks to fill this research gap, draw implication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consider variou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for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sation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addresses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activitie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encompasses public and private domains, and examines three represent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public technology transfer, technology diversification, and R&BD), so that the government and firms may promote the efficient redistribution of national resources and create maximum effects based on empirical data.
The first essay analys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chnology transfer fee in the transfer of public energy technology and examin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s between public research organisations that are technology providers and private firms that are technology demanders. The role of technology transfer in business management is attractive and vital, but the academic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are limited because of lack of empirical data or field experience. Moreo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technology transfer fee, which is the essential factor in the field. To overcome this research gap, this essay examine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transfer fee in the public technology transfer of the domestic energy industry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and contractual factors. As a result, for a technological factor the number of patents in the technology transfer contract and research fund of developed technology, and for a contractual factor the exclusivity of a contract and type of SME license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fe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hree factors mentioned abo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chnology transfer fee, except for the case of an SME licensee. In addition, qualitative aspects were observed,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echnology transfer (preference for SME licensee and non-exclusive, fixed-fee only contract)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licensee’s point of view (SMEs’ preference for non-exclusive contracts and large firms’ preference for exclusive and anti-competitive contracts with a fixed-fee only payment).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siders the energy industry as a research topic. Since the energy industr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national security, it is critical in the national commercialisation strategy. South Korea had the eighth highest energy consumption globally in 2018. Since most of the energy is imported, national innovation is always required in the energy industr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private domain to create its own innovation in the energy sector because, due to the nature of the energy technology and market, the return on investment is not high. Innovation in the energy sector is representativ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requiring collaborative innov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domains. Therefore, the novelty of this essay is that it deals with technology transfer in the energy industry, and this will have distinc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The second essay tests the effect of a firm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strategy on firm performance. As firms pursue continuous survival and development to obtain profitability, they always strive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ith a comparative advantage. Technology-based firms promote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for developing and commercialising new technology that is different from the leading technology companies have focused on to grow by continuously pioneering new markets. Firms pursue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to create new added value, ye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this activity will always have a posi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To answer this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nalysed firm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for commercialisation in terms of patents, R&D, and firm performance. It was observed that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efforts (patent portfolio balancing) from a patent point of view had a negative impact on firm performance; however, it was also noted that R&D intensity—firms’ technological development efforts—c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would weaken the negative effect of patent portfolio balancing on firm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additional R&D that can increase the technology readiness level (TRL) after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s necessary to create practical and profitable performance for firms because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that is not linked to successful commercialisation becomes a sunk cost.
The final essay identifies the impact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ternal private investment on commercialisation performance in the proces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R&BD) projects. Government-funded public R&D is the government’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y that creates private firm innovations and the accompanying national economic benefits. Existing public R&D has mostly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but recently R&BD-type government innovation activity has emerged to support the additional demonstration research of developed technologies to be utilised in the market. Since the country’s R&D resources are finite, the government should prioritise redistributing its limited budget efficiently to create the maximum effect. This essay proposes meaningful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these significant national issu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government funds, the difference in TRL before and after R&BD, and the amount of external private investmen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mmercialisation success of R&BD projects. Significantly, external private investment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described above and commercialisation success. This result implies that in allocating the R&D budget for successful commercialisation from the government’s point of view, it will be necessary to select projects that are highly likely to attract external private investment; namely, projects with firms prepared for commercialisation. This finding presents meaningful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national R&D innovation activities.
This dissertation considers variou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conducted as a national means of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from an integrated and practical point of view between public and private domains. To succeed with a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strategy for national innovation, complementary cooperation that can maintain innovation sustainability is needed, rather than innovation activities biased toward either public or private sector.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promote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public-led technology development and R&BD project subsidies, transfer technologies developed at public research organisations or universities in the private domain, and it should support the private domain in adapting these technologies to meet the market demand timing. In addition, private firms should diversify their main technologies and continue innovative activities in diverse fields to become driving forces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Toward this end, it is desirable for public and private domains to recognis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echnology transfer and the importance of R&D intensity and external private investment. They can then make a complementary effort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national innovation and performance.
기업이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려면 내·외부 환경변화에 적시 대응하고 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술혁신활동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동력인데, 최근 이 활동의 일환으로 기술사업화가 대두되고 있다. 기술사업화는 기술을 활용하여 제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활동, 또는 그 일련의 과정에서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현업의 관점에서 보면, 기술사업화는 공공이나 민간에서 R&D로 창출된 기술의 잠재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기술을 이전하거나, 기술을 활용하여 창업하거나, 또는 그 기술을 제품이나 프로세스 혁신에 적용하여 기업이 시장에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총체적인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기술사업화는 혁신 활동 주체에 따라 크게 공공과 민간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공공 기술사업화는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에서 개발된 공공 기술을 민간 영역으로 확산하여 기업의 성과창출을 향상시키는 방법이고, 민간 기술사업화는 기술개발, 투자유치, 제품 및 서비스의 창출과 판매 등 다각적 혁신활동의 형태로 이윤을 확대하는 기업의 자구적인 전략을 의미한다.
기술사업화는 공공과 민간의 협력으로 국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전략이므로 이의 필요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학문적으로도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의 주요 논점은 기술사업화 성공에 대한 분석이나, 기업의 성과창출 측면에서 기술사업화의 영향을 다루는 것에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는 정량적 분석을 위해 사업화 주체인 기업의 재무정보와 혁신을 대표하는 기술의 특허정보 등을 활용하였으나, 현업의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여 실용적인 시사점을 이끌어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학위논문은 이러한 연구 공백을 보완하고 기존 연구와 상이한 관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성공적인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혁신활동을 실용적인 차원에서 고려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 활동을 공공과 민간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고, 국가 자원의 효율적인 재분배와 최대 효과 창출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상호보완적으로 추진하는 대표적인 기술혁신활동 세 가지(공공 기술이전, 기술 다각화, R&BD)를 실증 자료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 번째 에세이는 공공 에너지 기술의 이전에서 기술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기술공급자인 공공연구기관과 기술수요자인 민간기업 상호간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살펴본다. 기술혁신이라는 경영학적 학문 분야에서 기술이전의 역할은 매우 흥미롭고 중요하나, 실증 자료나 필드 경험 등의 한계로 기존 연구의 학문적 결과는 제한적이고, 특히 현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기술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에세이는 국내 에너지 산업의 공공 기술이전에서 기술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기술적인 요인과 계약적인 요인의 통합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술적인 요인으로는 이전기술에 포함된 특허건 수와 기술개발 비용이, 그리고 계약적인 요인으로는 독점계약권과 중소기업 기술실시자가 기술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중소기업 기술실시자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요인들이 기술료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성적인 부분으로, 공공 기술이전의 주요 형태(중소기업 기술실시자, 비독점실시 및 정액기술료 선호)와 기술실시자 관점의 특징(중소기업의 비독점실시 선호 및 대기업의 독점실시 형태 정액기술료 선호)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에세이는 에너지 산업을 연구 주제로 삼았다는 점에서도 특유성을 가지고 있다. 에너지 산업은 국가안보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국가 사업화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이다.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전세계에서 8번째로 에너지 소비량이 높은 국가이지만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에너지 산업에서 국가적 혁신이 항상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분야는 기술과 시장의 특성상 투자대비 수익이 높지 않아 민간에서 자체적인 혁신을 창출하기 힘들다. 즉, 에너지 분야의 혁신은 공공과 민간의 협력적인 혁신 창출이 필요한 대표적인 기술혁신활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산업의 기술이전을 다룬 본 에세이의 특장점은 기술사업화 기술혁신활동의 연구에 있어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고 본다.
두번째 에세이는 기업의 기술 다각화 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한다. 기업은 수익성 확보와 함께 지속적인 생존과 발전을 추구하므로, 경쟁자 대비 비교우위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항상 노력한다. 기술기반 기업들은 경쟁력 향상을 위해 기술 다각화를 추진하는데, 이는 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기존에 집중하던 주 기술과는 다른 신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 하려는 대표적인 기술혁신활동이다. 기업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기술 다각화를 추진하지만, 이 활동이 기업 성과에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에세이는 이러한 연구 질문에 답하고자 사업화를 위한 기업의 기술 다각화를 특허, R&D 및 기업 성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허적 관점의 기술 다각화 노력(특허포트폴리오 밸런싱)이 기업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기업의 기술개발 노력을 보여주는 연구개발 집중도(R&D Intensity)가 특허포트폴리오 밸런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로 작용할 수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업화 성공으로 연계되지 못한 기술 다각화는 매몰비용이 되므로, 기업의 실질적인 성과창출을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 후 기술성숙도(TRL)를 높일 수 있는 추가 연구개발이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 에세이는 기업의 사업화를 위해 추진된 정부지원 사업화 연계기술개발(R&BD,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과정에서 외부 민간투자 연계가 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그 중요성을 조명한다. 정부지원 공공 R&D는 민간의 혁신과 이에 수반되는 국가경제 이익의 창출을 위해 추진되는 정부의 기술혁신 활동이다. 기존의 공공 R&D는 신기술개발 자체를 지원하는 활동이 대부분 이었으나, 최근에는 기 개발 기술을 추가적으로 실증하여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R&BD형 정부 혁신 지원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의 R&D 자원은 유한하므로, 정부는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재분배하고 최대효과를 창출하는 것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아야 하는데, 본 에세이는 이러한 국가적 주요 이슈에 대해 정부지원 R&BD의 유의미한 실증 연구결과를 제안한다. 연구결과, 정부의 R&BD 과제 지원자금, 과제 추진 후 TRL, 과제 추진 전·후 TRL의 차이, 과제추진 기업의 투자금, 외부 민간투자금 등이 R&BD 과제의 사업화 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 민간투자는 과제 지원자금과 과제 추진 전·후 TRL 차이가 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정부 입장에서 사업화를 위한 R&D 예산을 배분함에 있어서 외부 민간투자금을 유치하여 연계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 즉 사업화를 위해 준비된 기업을 선정하여 지원하는 것이 실효성이 높다는, 국가 R&D 혁신활동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관점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학위논문은 성공적인 기술사업화를 위해 거국적인 방편으로 추진되는 다양한 기술혁신활동을 공공과 민간의 통합적인, 그리고 실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국가적 혁신을 위한 기술사업화 전략의 성공을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 어느 한쪽에 치우친 혁신활동 보다 혁신 지속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정부는 공공주도 기술개발, R&BD 과제지원 등의 혁신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공공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개발된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시켜, 이 기술을 시장수요 맞춤형 사업화로 적시 연계할 수 있도록 민간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민간기업은 기반기술을 다각화하고 다양한 분야로의 혁신활동을 지속하여 국가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공공과 민간은 본 학위논문에서 제시된 공공 기술이전의 특징, 연구개발 집중도 및 외부 투자유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적 혁신의 지속가능성과 성과창출 제고를 위해 서로 노력을 경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