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integrated technology roadmap for efficient weapon systems acquisition = 효율적인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통합 기술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integrated technology roadmap for efficient weapon systems acquisition = 효율적인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통합 기술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 / Sung-Je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04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E 0801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aims to draw up Integrated Technology Roadmap for efficient weapon systems acquisition. Rapidly changing aspects of warfare led by developments in intelligence and technology. These new aspects in warfare have come to the fore, characterized by battlefield expansion, long-range precision strike, and network-centric warfare (NCW). The new aspects of war were made possible as new series of weapon systems with extended range, higher precision, and reinforced destructive power were introduced while real-time intelligence and command and control capabilities were dramatically enhanced thanks to the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announced a “Defense Reform Plan 2020” in 2005. The main subject relates with an acquisition weapon systems as follow. First, the ROK could face a number of other security challenges. Second, the ROK-US alliance is moving forward to the future with more emphasis on the role of the ROK military in its national defense, so they enhanced jointness. Third, MND will adjust the force size, linked with acquisition of advanced military capabiliti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ilitary structure. And forth, MND will transform into resources-saving defense management system with low-cost and high efficiency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efficient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defense capability. As aforesaid, in the future, weapon systems acquisition must consider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jointness and high efficiency etc. When request for requirement generation from each military service and agency, they must consider various criteria such as strategy, tactics, jointness, operational concepts, technical ripple effect, and the enemy situation. The indices of like this criteria are having the with each other different scale. And they are not standardized so that it can hardly be practiced as an overall comprehensive planning instrument for R&D. Until the now acquisition process came to consider about only individual fields. OOO and OOO wants to compare technologies of various fields by equal standard. But, current acquisition process is insufficient to basis data that can decide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by equal standard. Besides,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at similar technology included to different field. As a result, overlapped investment about similar technology consists. To overcome the lack of previous acquisition and efficient execution of the R&D budget, we apply to Integrated Technology Roadmap (ITRM) process using synergy effect. The Expert committee predicted 10 Megatrends, and they evaluated relation between each technology and megatrend. And they evaluate common technologies and fusion possible necessary technologies to other fields’ technologies at the same time to know synergy effect. Most technology roadmaps are not considering synergy effects and other fields. Only consider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es in individual industry. In case of considering only technology characteristics, there are included technologies of high synergy effect among excepted technologies. So, we are considering synergy effect such as fusion degree of each field’s possibility and fusion possible technologies. Therefore, we suggest ITRM process in this thesis. We hope this method will be applied in the national defense whole field and will operate efficiently.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더 멀리, 더 정확한, 더 효율적인 무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쟁 양상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냉전체제 이후 세계의 안보환경은 계속 변화되고 있으며,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은 급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미 연합은 계속 강조되고 중요하지만,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환수됨에 따라, 한국군의 역할이 증대되고, 각 군간의 합동성이 강조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무기체계 획득에 있어서, 예전에는 적보다 우수한 무기를 보유하는 것이 최우선이었지만, 이제는 효율성을 강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국방부에서는 그 동안 추진해왔던 국방개혁의 경험과 교훈을 토대로 2005년 국방개혁 2020을 발표하였다. 국방개혁 2020과 최근의 추세를 통해서 현 무기체계 획득 과정의 미비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무기체계가 개발됨에 따라 작전지역이 확대되고, 네트워크 중심작전(NCW), 효과중심작전(EBO)와 같은 새로운 작전개념이 도입되고, 가상적국에 대한 대응 개념을 확립해야 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변화된 상황에 따라 무기체계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분류와 공통된 기준으로 비교해야 하나, 현실적으로는 힘든 상황이다. 두 번째, 합동성이 강조 되면서 시너지 효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최근 합동 작전에서의 시너지효과 큰 무기체계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전의 무기체계 획득과정에서는 고려하지 못했던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국방재원의 제한으로 효율이 높은 무기체계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지만, 현재의 획득 과정에서는 비효율적인 요소들이 다소 산재해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획득과정에서는 개별적인 분야에 대해서만 고려를 해왔고,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술들에 대해 중복투자 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ㅇㅇㅇ와 ㅇㅇㅇ에서는 다양한 기술들은 공통의 평가기준으로 비교하고, 시너지가 높은 기술들을 선택함으로써 효율적인 무기체계를 획득하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미비점들을 극복하고 효율적인 예산 운영을 위해서 본 논문의 3장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한 통합기술 로드맵 작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ㅇㅇㅇ와 ㅇㅇㅇ에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전문가 위원회에서는 작성기관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류된 무기체계들을 표준화된 기준과 원칙에 의해서 분류 하였으며, 각 기술들을 평가할 수 있는 공통 평가 기준 8가지를 선정하였다. 두 번째, 분류된 각 기술들에 대해 전문가 위원회에서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표를 작성하였다. 평가표는 다음과 같은 3가지로 구분되어 작성하였다. ① 기술특성을 평가하는 표, ② 기술과 메가트랜드와의 관계를 평가하는 표, ③ 공통기술 평가와 타 분야의 기술간의 융합가능성을 평가하는 표이다. 세 번째, 전문가 위원회에서 평가한 기술특성의 결과값을 이용해서 획득 방법을 구분하였다. 획득 방법 선정은 기술특성을 평가한 8가지 기준을 ‘AS-IS’, ‘Capability’, ‘TO-BE’로 구분하여 각 기술의 해당 기준 평균값을 이용하였고, 획득 방법을 단기 개발, 중장기 개발, 구매, 제외로 구분 하였다. 네 번째, 기술과 메가트랜드와의 관련성 평가 결과를 클러스터링 해서 시너지 효과가 높은 기술들을 파악할 수 있고, 공통 기술과 타 분야의 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자료를 이용하여 융합 가능성이 높은 기술, 융합 가능한 기술, 융합 가능성이 낮은 기술, 고유기술 등의 8가지 그룹으로 구분하여 융합 가능 기술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 번째, 최종 의사결정권자의 결심을 돕기 위해서 Visual Data Mining 기법을 이용, 기술과 메가트랜드의 클러스터링 결과를 삼각형 모양을 이용하여 관계지도를 작성했으며, 공통기술과 타 분야의 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의 자료를 이용하여 등고선 지도를 작성했다. 등고선 지도에서는 각 분야간의 융합가능성 정도와 관련 있는 분야의 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류한 획득 방법과 연관성을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 기술의 우선순위를 다음과 같은 5 단계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① 각 분야간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등고선 지도를 이용, 각 분야의 융합 가능 정도와 연관 분야의 포함 수를 계산해서 각 분야의 우선순위를 정했고, ② 각 기술간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 융합 가능성으로 구분한 8가지 그룹의 우선순위를 정하였고, ③ 기술과 메가트랜드와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해서 시너지가 높은 기술들을 높은 우선순위로 정하였고, ④ 기술들을 획득방법에 따라 정렬하였으며, ⑤ 동일한 획득방법 내에 속한 기술들을 기술특성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총 5단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였으나, 각 단계는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정책이나 최종 의사결정권자의 판단 등 상황변화에 따라 순서 조정이 가능한 유연한 방법이다. 4장에서는 3장의 방법론을 산업분야에 적용하였다. 산업분야에서도 무기체계 획득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들이 동일하게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제부에서는 선정한 16개의 전략산업을 대상으로 3장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제 16개의 산업에 대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분석을 한 결과, 융합 가능한 기술과 공통 기술 평가 결과로 구분한 8가지 그룹 중에서 융합 가능성이 높은 4번 그룹과 융합 가능성이 있는 2,3,6번 그룹에 포함된 기술들의 비율이 약 35%이었다. 이 중 전체 기술 모두가 융합 기술이 될 수는 없겠지만, 절반만이라도 융합기술로 선정되거나 중복되는 기술을 제거한다면, 직관적으로 생각해 볼 때 예산의 17%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단순히 기술특성만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제외되는 기술들이지만, 시너지 효과를 고려하면 오히려 높은 시너지 효과를 갖는 기술이 포함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기술 로드맵 작성방안의 장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 표준화된 분류와 공통의 평가 기준을 이용해서 타 분야의 기술들을 객관적으로 비교 평가 할 수 있고, 기술 특성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획득 방법을 객관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을 선정하였다. ⅱ) 각 기술들의 특성뿐 아니라 시너지 효과를 구별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와 기술들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할 때 시너지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너지 효과를 고려해서 선정한 기술들 중에는 기술특성만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제외되는 기술들이 포함되어 있다. ⅲ) 융합 가능한 분야와 기술들을 식별해 낼 수 있고, 중복된 기술들을 제거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장점이 있지만,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미비한 점들도 있었고, 이를 보완 하기 위해 다음과 후속 연구들을 진행할 예정이다. 첫 번째,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융합 가능한 기술을 찾아내기 위해서 많은 데이터들을 처리해야 했고, 각 기술들을 평가한 위원들도 너무나 많은 기술들을 평가 해야 했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졌다고 장담하기는 힘들다. 분명 관련 없거나 잘 모르는 기술분야에 대해서는 직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야 한다. 그래서, 각 분류체계상 제일 하단의 기술에 대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차 상급 단계에서 평가를 한다면 데이터의 양이 줄어들 것이고. 차 상급 단계 평가결과를 가지고 필요 시 제일 마지막 단계의 기술들을 선택하여 평가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 라고 생각한다. 또한 전문가 평가이전에 특허 맵과 지식 맵을 이용해서 시너지 효과를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로 ITRM이 완성되어 각 분야별로 사업이 추진되고 나면, 추진 이후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방법으로 각 사업의 효율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에 계획 수립 시 이용 가능하며, ITRM의 사후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세 번째로 ITRM 작성을 위한 supporting tool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일부 모듈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구현을 했지만, 전체 과정을 아우르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supporting tool을 개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ITRM을 확장하면, 무기체계뿐 아니라 비 무기체계 도입 시에도 사용하고, 교육/훈련/인사관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시너지 효과를 이용하면 전구 및 전장 상황에 맞는 무기 및 세력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구/전장관리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E 08018
형태사항 ix, 100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성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ang-Chan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상찬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90-9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