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designing exhibi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using a narrative method =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회과학적 이슈 전시 기획 방법론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designing exhibi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using a narrative method =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회과학적 이슈 전시 기획 방법론 연구 / A Yon Yu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9].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461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9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s the impact that science and technology has on the society is increasing, the call for science centers to handle socio-scientific issues (SSI) has been steadily raised. The call emphasize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by science centers to increase the scientific literacy of the public, because more and more social issues are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Despite the consensus on this claim, science centers that deal with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ir exhibitions are rarely found. Many curators state that socio-scientific issues are difficult to find objects for exhibition, and difficult to display with hands-on exhibits.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a proposal for a practical methodology for exhibition plan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Most previous studies simply suggested goals or strategies of exhibitions plan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but failed to provide specific methods. The following three key questions are discussed in the present study: 1) What does an exhibi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exactly mean, and what are its characteristics?; 2) How can a narrative method be applied to the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3) Is the methodology for exhibition plan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using a narrative method vali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by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irst, based on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last two decades, the scopes,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were analyzed, because there is no consensus concept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among scholars. I extracted from 39 previous studies the common thoughts by scholars, and eventually identified thre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which are critical reflection, contextualized information and opinions sharing. Second, as a method of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I introduced narrative method to the exhibition plan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suggested a narrative structure for the planning of narrative-led SSI exhibitions. The narrative structure is a guideline to the design of storylines for individual themes. I organized the narrative structure by arranging it in accordance with a narrative plot, with a total of 15 SSI-related story materials, including historical background of an issue, impact on society, and various viewpoints and positions related to the issue, so that the thoughts of visitors may be naturally drawn out along the traffic line of the exhibition. Third, with the theme of ‘Post Human,’ an exhibition storyline was designed and realized as an actual exhibition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narrative design methodology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isitors to review their participation in the exhibition narrative and their critical reflection about the theme and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the ‘narrative design methodology of narrative-led SSI exhibition’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a practical guideline for many curators and scholars to understand and plan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I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groundwork for future studies on exhibitions dealing with socio-scientific issues and contributes to an actual increase of exhibitions on socio-scientific issues at science centers.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면서 과학관에서 사회과학적 이슈 (socio-scientific issues, SSI)를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이슈가 점차 증가하면서, 과학관도 이에 대한 대중의 과학적 소양 함양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에 비해 실제로 과학관에서 SSI를 다룬 전시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다. 그리고 많은 기획자들이 전시할 오브제를 찾기 어렵고 핸즈온 방식으로 풀어내기 어렵다는 등 SSI 전시 기획에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획자들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SSI 전시의 기획 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대다수의 선행 연구들이 전시 기획 방향이나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쳐있을 뿐 구체적인 방법론은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연구주제를 갖는다. 1) SSI 전시는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며 어떠한 특성을 갖고 있는가?, 2) SSI 전시 기획에 내러티브 방식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3) 내러티브를 활용한 SSI 전시 기획 방법론이 과연 유효한 방법론인가?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지난 20년간의 선행 연구 분석을 토대로 SSI 전시의 범주와 목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SSI 전시에 대한 학자들 간의 합의된 개념이 아직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저자는 총 39편의 기존 연구들에서 SSI 전시에 대한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들을 추출하였고, 그 결과 비판적 성찰, 맥락화된 정보, 의견 공유라는 SSI 전시의 세 가지 특징을 도출해내었다. 둘째,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SSI 전시 기획에 내러티브 방식을 도입하여 내러티브형 SSI 전시 기획을 위한 스토리 구조를 제시하였다. 박물관 분야에서 논의되는 내러티브형 전시와 과학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적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내러티브형 과학 전시 형태를 제안하고, 이를 위한 기획 방법론으로 SSI 전시의 이야기 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이야기 구조는 각 주제에 따른 스토리라인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저자는 해당 이슈가 제기된 배경,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이슈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입장 등 SSI와 관련된 총 열 다섯 가지 스토리 요소들을 기승전결에 따라 배치하여 관람동선에 따라 관람객의 사고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포스트 휴먼'을 주제로 전시 스토리라인을 설계하고 실제 전시로 제작해봄으로써 제시된 SSI 전시 기획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시 참여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전시 스토리에의 참여도과 주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정도를 살펴보고 SSI 전시 기획 방법론의 효용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SSI 전시의 세 가지 특성'과 '내러티브를 활용한 전시 기획 방법론'은 많은 기획자와 학자들에게 SSI 전시를 이해하고 기획하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으로 기능할 것이다. 본 연구가 앞으로의 SSI 전시 연구에 초석이 되고, 과학관에서의 실제적인 SSI 전시 증대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9007
형태사항 iv, 10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윤아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ng Gwan Ju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봉관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94-9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