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비예혼합 화염의 층류 부상 특성과 화염전파속도의 상관관계 및 밀도효과 규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aminar liftoff characteristics and flame propagation velocity of non-premixed flame and density effect
서명 / 저자 비예혼합 화염의 층류 부상 특성과 화염전파속도의 상관관계 및 밀도효과 규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aminar liftoff characteristics and flame propagation velocity of non-premixed flame and density effect / 전민규.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60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ME 1807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Lifted flames can be used to prevent thermal damage to combustor, and turbulent lifted flames could be applied in the combustor of the industrial field or propulsion system to inject and consume a large amount of fuel.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structure and phenomena of laminar and turbulent lifted flames and to understand their stabilization mechanism. This dissertation discusses previous theory on laminar flame and its limitations, and suggests new approaches to solve them. First, edge flame speed could not be estimated from the liftoff height of stable lifted using laminar jet similarity solution. In this dissertation, the experimental relationship between fuel jet velocity and liftoff height was precisely measured, and a new method with effective Schmidt number and the similarity solution was proposed. Second is that the reason why stable flame could not be observed when Sc < 0.5 could not be explained theoretically. As a new stabilization criterion, it shows that the flame can be stabilized only under the condition of Sc > 1. From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stabilization mechani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minar non-premixed jet lifted flame of other fuels. This study has the ultimate goal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laminar jet flame to connect with turbulent lifted flames.

부상화염은 연소기의 열적 내구도 측면을 고려할 때 유리하게 작용하므로 산업현장 또는 추진체 등에서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량의 연료를 분사하여 연소시켜야하므로 산업현장에서는 난류화염이 주로 이용된다. 또한 부상화염이 연소기의 열손상 방지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상화염 내 층류 및 난류 현상들은 화염구조와 그 안정화 메커니즘을 해석하기 어려우므로, 각각의 현상들에 대해서 다른 이론이 발전하였다. 특히 층류부상화염은 이론적인 접근과 정교한 실험을 통해 그 이론이 정립되었다. 그러나 난류부상화염의 경우 대부분 경험식 또는 개략적인 메커니즘 해석연구를 통해 발전되었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층류부상화염에 대한 과거 이론 연구들과 그 한계점들을 논의하고, 이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층류 및 난류부상화염을 연결할 수 있도록 층류제트 부상화염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를 갖고 있다. 먼저, 층류 연료 제트에 대해서는 부상화염의 화염 안정화 메커니즘은 농도확산계수과 동적 점성도로 정의되는 슈미트 수(Sc)로 설명되어 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속도와 농도 간의 상사해를 이용하여, 슈미트 수가 Sc > 1 또는 Sc < 0.5 의 범위에 있을 때 부상화염이 안정화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두 가지 해결되지 않은 한계점이 남아 있었고, 본 연구에서는 그 답을 얻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안정된 부상화염높이의 결과로부터 에지화염속도를 결정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료제트유속과 부상높이 간의 실험적 관계를 정밀히 측정하고, 유효 슈미트 수와 기존의 상사해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부상화염 안정화에 기여하는 에지화염속도와 연료농도구배의 상관관계는 연료유속과 부상높이에 대한 간단한 실험 결과로부터 직접 추정될 수 있으며, 이 새로운 방법은 관 지름, 공기예혼합 비율 및 질소 희석 비율을 비롯한 다양한 실험 변수에 대해 검증할 수 있다. 두번째는 Sc < 0.5 일 때 안정된 부상화염이 관찰되지 않는 이유를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점에 대해서는 새로운 안정화 기준을 제시하여 Sc > 1 의 조건에서만 부상화염이 안정화될 수 있음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이론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연료들에 대한 층류 비예혼합 제트의 부상화염의 특성 및 화염 안정화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E 18071
형태사항 ix, 11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Kyu Ju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남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Nam Il Kim
부록 : A, 동축류 층류제트 상사해 유도. - B, 부상화염의 화염전파속도 및 연료농도구배. - C, 대표실험결과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03-10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