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pace development without a dream : implications of an industry focused space policy in establishing a sustainable national space program = 국가우주개발 정책 추진체계 및 성과에 관한 다중흐름모형 분석
서명 / 저자 Space development without a dream : implications of an industry focused space policy in establishing a sustainable national space program = 국가우주개발 정책 추진체계 및 성과에 관한 다중흐름모형 분석 / Seorim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227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STP 18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olicy system for space development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players and processe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space activities of the nation. With the analysis of major space groups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and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 series of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s, and highly publicized space events and public perceptions thereof, this study tracks how key rationales for space development were embedded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major space organizations and their activities as well as how the government effort to increase public interest in national space activities in fact led to both scrutiny and criticism of the major space programs by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based upon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at has been used to identify major actors and sort out policy processes, the study analyzes the establishment and evolution of two major space programs - the Korean Astronaut Program and the KSLV-I Program - and explores further public opinion on them using a big data tool. One of the central findings of this dissertation is that top-down government controlled national space development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two decades focused on economic values such as the promotion of aerospace industries has constrained national space development to remain in the rather narrow-range activities, thus contributing to an increasing discrepancy between the public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s of the nation’s space activities and the goals and plans of the government for national space development.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우주개발계획의 수립 및 사업 추진에 참여한 기관 및 절차에 대한 다중흐름모형 연구를 통해 국가 우주개발 정책체계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우주개발 참여 기관 및 각종 우주개발계획, 일반 대중을 위한 우주 관련 행사 및 그에 관한 대중 인지도 및 관심도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산업개발 위주의 우주개발 논리와 방향성이 주요 우주기관의 조직 및 운영, 사업 추진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국가 우주개발 활동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오히려 주요 우주개발 사업들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도와 관심도 저하를 초래한 현상을 분석하였다. 특히 주요 이해관계자 분석과 정책 및 사업 형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대표적 정책과정 분석틀인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해 한국우주인사업과 나로호 사업의 기획 및 추진 과정을 분석하고, 빅 데이터 툴을 활용하여 이들 사업들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지난 20여년간 항공우주산업 증진과 같은 경제적 효용성 중심의 하향식 정부 주도 우주개발로 국가 우주개발 활동과 정책의 폭이 상당히 제한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정부의 우주개발 목표 및 계획과 일반 대중의 우주개발 활동에 대한 이해 및 기대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STP 18001
형태사항 vii, 19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서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o You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소영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76-19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