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martphone effect : user experience of post-optimal use with mobile information devices = 스마트폰의 영향 : 휴대용 정보기기의 Post-optimal use의 사용자 경험
서명 / 저자 Smartphone effect : user experience of post-optimal use with mobile information devices = 스마트폰의 영향 : 휴대용 정보기기의 Post-optimal use의 사용자 경험 / Yong-Ki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97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7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smartphone has changed how people experience digital information. Often times, the smartphone is neither used for solving problems, nor for seeking pleasure. We define this condition as post-optimal use, where there is a shift towards increasingly unplanned uses of the smartphone. HCI Design, however, fails to understand these uses due to its dominant traditions of technosolutionism and hedonism. Thus, we study the effect of the smartphone on people, to find new tools and methods for understanding the user experience of post-optimal uses. For this, we applied a hybrid approach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The empirical part comprised four individual diary studies that aimed at describing smartphone uses that were neither pragmatic nor hedonic. First, we used a Photo Diary to describe the activity of smartphone use, for studying the behavior and the con-text of use. Then, we complemented this study with a Feedback Diary to describe the mental states during smartphone use, for sampling momentary feelings. Thirdly, we added an Elicitation Diary to describe the users’ memory of smartphone use, for reconstructing the meaningfulness of smartphone use. And finally, we conclud-ed with a Video Diary to describe the users’ memory gaps of smartphone use for capturing the continuous user experience of smartphone use.The theoretical part comprised four essays that aimed at recovering the meaning of smartphone use. First, we applied a Critical Theory approach in introducing and discussing Critical Design as a research methodology to overcome the dominant ideologies of technosolutionism and hedonism, and for find-ing an interpretive lens that can rationalize smartphone use in alternative ways. We continued this quest through our conceptual proposal of Post-optimal Use to create that interpretive lens, for HCI Design to think differently about use experiences with the smartphone. Thirdly, we applied a speculative approach to think about meaning-making with material and digital products,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lost symbolic dimension of the smartphone use experience. Finally, we concluded the thesis with the proposal of a Post-optimal Use Process to reinstate the lost symbolic dimension of the smartphone user experience. The outcome from the empirical stud-ies was the theory of the SMARTPHONE EFFECT that describes how smartphone use becomes increasingly meaningless. The outcome from the theoretical studies was the concept of POST-OPTIMAL USE as an interpre-tive lens to understand why smartphone use becomes increasingly meaningless, and what designers can do about it. The empi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complemented each other in offer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smartphone use. Our contribution is to offer a new thinking-tool for HCI Design that helps answer how designers should think about and reconsider user experience qualities of the smartphone. Ultimately, we state that Post-optimal Use can be an antidote to the detrimental effects of Technology Push.

스마트폰은 사람들이 디지털 정보를 경험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종종 스마트폰으로 문제를 해결하지도, 즐거움을 추구하지도 않는다. 스마트폰의 의미없는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이러한 현상을 post-optimal use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HCI디자인은 기술만능주의와 쾌락주의의 지배적인 전통으로 인해 이러한 사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post-optimal use의 사용자 경험을 이해하는 새로운 도구와 방법을 찾기 위해 스마트폰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실증적 연구와 이론적 연구의 절충적 접근법을 적용했다. 실증적 연구는 실용적이지도 쾌락적이지도 않은 스마트폰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네 가지 개별적 다이어리 연구로 구성된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의 행동과 정보에 대한 연구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활동을 묘사하는 포토 다이어리(Photo Diary)를 이용하였다. 그 다음, 일시적 감정을 샘플링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의 정신상태를 묘사하는 피드백 다이어리(Feedback Diary)를 가지고 연구를 보완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의 의미를 재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의 사용자 기억을 묘사한 추출 다이어리(Elicitation Diary) 를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자 경험을 포착하기 위해 스마트폰 사용의 사용자 기억 공백을 묘사한 비디오 다이어리(Video Diary) 를 이용하여 결론을 내렸다. 이론적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해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연구 방법론으로서 비판적 디자인(Critical Design)을 도입하고 논의하는데 있어 비판이론적 접근법(critical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여 기술만능주의와 쾌락주의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대안적 스마트폰 사용을 합리화하는 해석 렌즈를 찾는다. HCI디자인이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든 해석 렌즈인 Post-optimal Use라는 개념 제안을 통해 연구를 이어갔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서의 상실된 상징적 차원을 개념화 하고 물건과 디지털 제품들의 의미 만들기를 위해 사변적 접근법(speculative approach)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의 상실된 상징적 차원을 회복시키는 Post-optimal Use Process를 제안하면서 논문을 결론지었다. 경험적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이 점점 의미가 없어지는 것으로 설명되는 SMARTPHONE EFFECT이론이다. 이론적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사용이 점점 더 무의미해지는 이유와 디자이너가 그것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해석렌즈로서의 POST-OPTIMAL USE개념이다. 경험적 연구 및 이론적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면서 서로 보완했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사고 툴(thinking tool)을 제공하여 디자이너가 스마트폰의 사용자 경험의 특성을 어떻게 생각하고 재고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 답변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궁극적으로 Post-optimal Use는 Technology push의 해로운 영향에 해독제가 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7002
형태사항 xix, 179, xx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용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un-py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건표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ii-xx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