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2040 대도시권 유형 전망과 유형별 도시계획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strategies of 2040 metropolitan area types and types by the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서명 / 저자 공간구조 분석을 통한 2040 대도시권 유형 전망과 유형별 도시계획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planning strategies of 2040 metropolitan area types and types by the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 한동훈.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7].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48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17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Metropolitan Area through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each area were giving direction for urban planing that can develop into a sustainable city. This study applied various methodologies for future prediction. First, look at the urban spatial structure theory. The change of urban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constructed for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the effect of urban space was grasped by environmental scanning. In addition, key variables were derived from Delphi survey and cross impact analysis. And, investigated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predicted future in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with the 3D future prediction method. In addition, the Causal Loop Diagram was created and the interaction of the change factors was observed. And, proposed a plurality of future city types by scenario planning. This study presented four types of metropolitan areas in the future. First, the mega-region-based metropolitan area, that continues to expand in scale. Second, the network-based metropolitan area, overcoming the overcrowding by central function sharing. Third, the decadent metropolitan area, the overall function of the city is degraded. Fourth, the smart shrinking metropolitan area, adjusts city size to meet the demand for land use.

본 연구는 대도시권 유형을 공간구조 분석을 통하여 분류하고, 각 도시권별로 미래의 지속가능한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는 지역별로 형성된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시간적인 범위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추이 및 2040년을 미래전망의 시점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우선, 도시공간 구조와 관련한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각 이론에 기반하여 도시공간구조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동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대도시권의 공간구조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환경스캐닝을 통하여 도시공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델파이 설문조사와 교차영향분석으로 핵심변동요인을 도출하였으며, 3차원 미래예측법을 통해 한국, 일본 및 미국의 도시공간구조 변화추이와 미래변화를 전망하였다. 아울러, 시스템 인과지도의 작성으로 변화요인간의 상호작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였으며, 시나리오 플래닝으로 미래의 대도시권 유형을 전망 하였다. 본 연구는 4가지의 미래 대도시권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도시규모 확대가 지속되는 메가리전(Mega-region)형 대도시권, 둘째는 중심기능의 분담으로 과밀을 해소하는 네트워크형 대도시권, 셋째는 전반적인 도시의 규모와 기능이 저하되는 쇠퇴형 대도시권, 넷째는 저성장시대 토지이용 수요에 부합하도록 도시규모를 조정해가는 스마트 축소형 대도시권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17012
형태사항 iv, 106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ong-Hun H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서용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ngseok Seo
부록 : 2040년 대도시권 공간구조의 미래예측을 위한 설문조사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05-10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