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apturing the complexity of appropriate use of smartphone : an approach from goal congruency perspective = 목적 적합성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정의와 결정 요인 연구
서명 / 저자 Capturing the complexity of appropriate use of smartphone : an approach from goal congruency perspective = 목적 적합성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정의와 결정 요인 연구 / Dapeng Zha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3014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KSE 16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young generations become more receptive of new forms of media such as smartphone. Soon after the adoption of smartphone increased dramatically, smartphone overuse ? one typical example of in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 become a big problem for lots of smartphone users. Consequently, considerable effort has be given to researches that help me to reduce the use or to keep them away from their smartphone. However, there are not only dark side of using technology, simply keep people away from technology will also reduce the potential benefits they could otherwise get from using it. Instead of simply encourage the usage or reduce the extent of using technology, it would be more important to guide people to use technology appropriately. In the absence of knowledge of operational definition of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in this research, we aim to conceptualize the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from the goal-congruence perspective, and using smartphone - as the tool for the theoretical model testing. In this study, we operationalized the definition of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as the extent to which the daily striving of using technology support or congruent with users’ long-term goals while reflect the contextual emphasis. To test and valid the new concept of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a comprehensive study includes three times of questionnaire and empirical data collection that lasted for 26 days was conducted Two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research. In the first one,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determinants of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the measurements was tested using the Social-cognitive Theory (SCT). The results suggested our new definition and measurement has a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well as could be well-explained by social-cognitive variable. In addition, the model testing result suggested that self-regulation played a direct and central role in deter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smartphone. All of the rest social-cognitive variables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the appropriate use of smartphone through self-regulation. The second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users’ behavioral intention to adjust their way of using smartphone towards a more appropriate direction based on the Theory of Planed Behavior (TPB). The results shows that the attitude towards behavioral change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epancy on behavioral change intention. Also, the inertia demonstrated both a significant direct negative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attitude on behavioral change intention. However, the PBC and subjective norm failed to show a signification effect on behavioral change intention in the current study.

스마트폰이 현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해질수록 스마트폰 중독 상황은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거나 스마트폰을 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단지 어두운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 편의성과 생산성 등 여러 가지 좋은 면도 많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고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무조건 줄이는 것보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목적 적합성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정의와 결정 요인을 연구한다. 계급적 목적 이론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달성하려고 하는 목적들이 사용자들의 장기적인 인생 목표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방식이 적절한지 측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스마트폰의 적절한 사용 개념의 타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 인지 이론과 계획적 행동이론 두 가지를 이론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세 번 실시하였고 26일간 실증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적절성을 측정하였다. 첫 번째 모델 결과에 따르면 사회 인지 이론에 있는 변수 중에서 스마트폰을 자기 조절하며 사용하는 것은 스마트폰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세 가지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계획적 행동이론의 결과에 의하면 사용자들의 인지된 실제 사용과 자기나 타인들의 기대 간의 불일치는 사용자들이 스스로 변화하려는 태도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 조절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방식을 유지하려는 관성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실증연구 결과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스마트폰 조절 의도와 실제적인 스마트폰 사용 방식의 조절 여부에는 중요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KSE 16010
형태사항 iv, 8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조대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 Yong Y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문용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77-8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