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n) exploring study on intention to use wrist wearable devices : focus on health-related factors =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건강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An) exploring study on intention to use wrist wearable devices : focus on health-related factors =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건강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 Yongj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997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T 1601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analyzed the intention to use wrist wearable devices. Before Apple’s foray into the smartwatch market with its recent release of the Apple Watch, Samsung dominated this market. However, as soon as Apple introduced its new product, the company’s market share quickly reached more than 60%.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smartwatches and smartbands. A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vices is that a smartwatch can communicate with other smart devices directly (e.g., it can make a call to other devices), while a smartband only allows the checking of health information such as walking distance, heartbeat, and sleeping patterns. While they have distinct functions, both the smartwatch and the smartband offer health functionalities. We consider the health function on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o construct an empirical analysis model, we observed well-known underlying theories of analysis: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an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Our model considers six items related to health: health-related benefit (HB), health-related functionality (HF), health-related vulnerability (HV), health consciousness (HC), health liter-acy (HL), and trauma experience (TE). We conjecture that (1) HB, HF, and HV affect perceived usefulness (PU), (2) HL affects perceived ease of use (PEOU), (3) TE affects HV and HL, (4) HC affects HL, (5) PEOU affects PU, and (6) PU and PEOU affect intention to use (IU).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74 smartwatch and smartband users. To analyz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e used the partial least squares 2.0 (PLS 2.0) metho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hich is good for controlling model complex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PU and PEOU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U of wrist wearable devices. In addition, PEOU has positive effects on PU.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AM. HB, HF, and HV have positive effects on PU. HC affects HL, and HL affects PEOU. TE has positive effects on HV, but statistically no effect on HL. In this paper, we divide users into two groups. This study examines group differences between smartwatch-only users and smartband-only users and investigates group difference between those aged 20-49 years and those aged 50 years and over. These results have several implications. This is the first paper to analyze wrist wearable devices from the health perspective. All six health constructs, HB, HF, HV, HL, HC, and TE, a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use of wrist wearable devices. People who care for their health more than others have relatively high intention to use wrist wearable devices. In the view of managerial implications, when manufacturers make wrist wearable devices, HF such as health status and output data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rist wearable devices offer significant health information. Further, wrist wearable devices should provide health information more conveniently.

본 논문은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의 사용요인을 건강 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건강관련 이점, 건강관련 기능성, 건강 관련 취약성, 건강 관심도, 건강 이해도 그리고 외상 경험 6가지 변수를 찾아 각각 연관성을 분석하여 기술 수용 모델을 활용하여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10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하나의 가설을 제외하고 나머지 9가지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건강관련 이점, 건강관련 기능성, 건강 관련 취약성이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 이해도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주었다. 외상 경험은 건강 관련 취약성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건강 이해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건강 관심도는 건강이해도에 영향을 미쳤다. 기술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 사용자를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이점이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이 스마트워치 사용자와 스마트밴드 사용자 간에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령대를20-40대와 50대 이상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건강관련 취약성이 인지된 사용 유용성에 미치는 결과가 상이하게 나왔다. 본 논문은 스마트워치와 스마트밴드를 포괄하여 연구한 첫 번째 연구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스마트 기기의 건강 관련 사용의도를 연구한 논문이 없었고, 그 변수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도 적었다. 본 연구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의도를 본격적으로 분석한 첫 번째 논문이며, 다양한 건강관련 변수를 도입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T 16017
형태사항 vi, 4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용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부,
서지주기 References : p. 33-3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