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에 따른 감성적 효과 = Making video playback and its emotional effect
서명 / 저자 영상을 재생하는 방식에 따른 감성적 효과 = Making video playback and its emotional effect / 정경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99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16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video playback styles affect viewers’ emotional responses to video contents. From a literature review in related fields including film, dance, and animation was conducted, the temporal attributes of video were identified as speed, direction, and continuity. Subsequently, the attributes were em-ployed in an empirical study in order to design the video playback styles. In the experiment, observers were presented with videos in original playback in comparison with articulated playback, simultaneously. Each ob-server verbally described how the playback designs made them feel. Thirt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more than 3,800 emotion terms were collected. Redundant and synonymous terms were merged and thus the number of words were reduced from 3,849 into 52 categories. The frequency of the emotion terms indicated tendencies with regard to the articulation of the video playback attributes. The playback spe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gnitude of arousal. The playback direction was related to the hedonic values, for example, showing backward often elicited negative emotions. Lastly, the playback continuity had a relatively marginal effect, though it could enrich diverse types of affective experiences elicited by viewing videos. Then the designs of video playback were sorted in relation to their emotional manifests. In this way, 11 major emotion terms were provided with a list of video playback designs. The results were utilized to develop an open access online service called “Jockey Time Beta”. It supports users by allowing them to choose and apply a playback design to enhance the affective quality of the original video. The user experience of the beta version is deliberately planned to reflect the outcomes and lessons from the empirical studies. Jockey Time Beta was operated for a month in order to monitor and to collect data on how people use and appraise the service in particular situations. Several improvement points were discover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For example, the selection of the target emotion could more distinguish positive categories and be semantic-free. Finally, the Jockey Time v. 1.0 was launched and, in anticipation of further insights, it records users’ usage patterns as well as their judgments of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재생 디자인에 따른 영상의 감성적 효과를 조사하여, 감성 표현을 위한 재생 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이를 활용한 온라인 재생 디자인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는 문헌 연구와 탐색적 연구, 그리고 개발과정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문헌 연구에서는 영상과 관련된 분야에서의 동적 표현을 조사하여 이를 공간적, 시간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시간적 요소로 분류된 재생 속도, 방향, 연속성 제어 과정을 ‘재생 디자인(playback design)’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정의하였다. 탐색적 연구에서는 시간적 요소 조합에 의해 생성된 11가지의 재생 디자인 방식을 중성 감성 및 4개의 각기 다른 감성 영상에 적용하여 영상 자극물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에게 재생 디자인이 적용된 영상과 원본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여, 원본 대비 재생 디자인 적용 영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성 반응을 어휘 표현으로 적도록 하였다. 대학생 30명이 탐색적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3,800개 이상의 감성 어휘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중복 어휘를 통합하고, 유의어 관계에 놓인 어휘들을 한 그룹으로 묶어 52개의 유의어 그룹으로 요약하였다. 재생 디자인 방식에 의해 유발되는 감성의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재생 디자인 방식 별 어휘 그룹을 응답빈도 순으로 정렬하였다. 응답 빈도 분석 결과, 영상의 배속과 유발되는 감성의 각성의 정도가 양의 연관성을 보이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재생 방향은 유발 감성의 긍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영상의 재생 연속성은 영상의 유발 감성에 미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나, 유발되는 감성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특정 감성에 적합한 재생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해, 탐색적 연구에서 수집한 어휘를 대상으로 감성 어휘 별 재생 디자인 방식의 빈도를 재정렬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주요 감성 어휘에 대한 재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온라인 재생 디자인 도구 Jockey Time Beta를 제안하였다. Jockey Time Beta는 사용자가 직접 소구 감성을 선택하도록 해, 선택 감성에 적합한 재생 디자인을 사용자의 영상에 적용시켜주는 자동 재생 디자인 편집 도구이다. 베타 버전의 사이트를 한 달의 기간 동안 운용하여 사이트의 사용 패턴을 관찰하였고, 동시에 사이트 사용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한 사용자 로그 데이터를 통해 베타 버전의 개선점들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긍정적 감성에 대한 재생 디자인을 보다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때 감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어휘 표현보다 시각적 표현이 적합하다. 위와 같은 개선점들을 반영해, 최종적으로 Jockey Time v.1.0을 개발하였다. Jockey Time v.1.0을 사용해 사용자의 사이트 사용 패턴을 기록하고, 제공되는 재생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를 수집할 수 있어, 재생 디자인 도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16007
형태사항 vi, 7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Kyeong Ah Jeo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석현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yeon-Jeong Suk
부록 : 1, 재생 디자인 적용 영상 제작을 위한 Matlab 코드 개요도. - 2, 재생 방식에 따른 감성적 효과 탐색 연구 설문지. - 3, 재생 방식에 따른 감성적 효과 탐색 연구 영상 재생 화면. - 4, 감성적 영상에 재생 디자인을 접목하였을 때 발현되는 감성 어휘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2-6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