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초연결사회에서의 국가 리더십의 미래 변화 : 창조적 플랫폼 리더십 = Future changes of governance's leadership in hyper-connected society
서명 / 저자 초연결사회에서의 국가 리더십의 미래 변화 : 창조적 플랫폼 리더십 = Future changes of governance's leadership in hyper-connected society / 허정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97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16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Leadership is one of important subjects of Futures Studies. For a long time, leadership has ha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progress of human history and civilization. Leadership is always a standard for estimation of futures of community or organization. So to say,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and to make an appropriate plan for futures. In this sense,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study of leadership and Futures Studies regarding to researching method which related to decision and practice. This thesis deals with future changes of governance’s leadership in hyper-connected society. Especially it is focused on the leadership in a bureaucratic nation, such as Korea. Korea should change this bureaucratic leadership suited for industrial society and rapid development period into the leadership suitable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of future society. This study suggests ‘creative platform leadership’ as optimal and proper governance’s leadership form in hyper-connected society. With beginning of information society, the governance’s leadership becomes weak so quickly thanks to rapid development of connecting technology, that is to say internet and SNS. This is, of course, an unavoidable phenomenon but it breaks down basis of leadership, for example, hegemony and authority of it. Leadership consists of three essential elements as follows: leader, follower, and context. Through a filter of the Environment Scanning, Timed STEPPER and 3D Foresight method, we can find the driving forces which have influences on these 3 elements and we can draw images of future chang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deny the governance’s leadership but to make a suggestion that we must prepare the future oriented leadership. Add to that point, this thesis has special meaning to explain invisible and abstract connection between the governance’s leadership and Futures Studies on concrete and scientific level.

리더십은 미래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리더십은 인류 역사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였으며, 리더십은 조직이나 공동체의 미래를 예측하는 유용한 판단 기준이 된다. 미래학이 선택과 실천에 관련된 학문이라는 점에서도 리더십 연구는 매우 미래학적이다. 예측되거나 바람직한 미래를 만들기 위하여 지금 우리가 결정하고 실행해야 할 일들을 선택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미래 연구의 목적이고, 이는 곧 리더십의 문제가 된다. 국가 리더십은 법과 제도를 운용하고 막대한 예산 집행을 통해 국가 내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분하고 디자인함으로써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 국가의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헌법적 임무를 갖고 있다. 특히 단기간의 압축 성장 후유증에서 벗어나야 하는 우리나라는 성장 주도의 관료제 국가 리더십보다 창의와 혁신 중심의 국가 리더십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보사회 이후 국가 리더십은 빠르게 약화되고 있다. 인터넷과 SNS 등 연결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를 볼 때, 미디어와 교통수단 발달에 의한 개인 간 연결의 확장과 연결 속도의 증가는 정보와 지식의 유통을 통해 개인의 힘을 강화한 반면, 전통적 리더십의 기반인 권력과 통제의 토대를 흔들고 권위의 입지를 좁혀왔다. 특히 초연결사회에는 연결 기술에 의해 사회적 관계는 물론 1인 생산 등 생산 양식에 큰 변화가 일어난다. 인류 문명사 중 개인의 힘이 가장 강해지는 초연결사회에서는 국가 리더십의 형태와 속성이 지금과는 매우 달라질 수밖에 없다. 리더십은 리더(leader)와 개인(follower), 상황(context) 등 3가지 요소의 함수관계다. 본 연구는 환경 스캐닝과 Timed STEPPER를 필터로 활용해 리더십의 3가지 필수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동인(動因, driving forces)들을 추출하고, 상호인과관계 다이어그램과 CLA(Causal Layered Analysis)를 통해 동인들 간의 심층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한 뒤 이를 3차원 미래예측 기법에 따라 초연결사회의 국가 리더십이 갖춰야할 특성들을 제안한다. Timed STEPPER에 의해 밝혀진 국가 리더십의 핵심 동인은 연결 기술, 생산 양식, 세계관이다. 초연결사회에서는 이 가운데 연결 기술이 다른 동인들을 규정지으며 영향력이 극대화된다. 초연결사회에 예측되고 선호되는 국가 리더십의 모습은 ‘창조적 플랫폼’이다. 미래 국가 리더십의 기반은 지식이나 매력, 수요자 만족, 창발성, 회복탄력성, 자유주의적 개입에 의한 설득 등으로 다변화된다. 정부는 행정서비스의 독점 공급자에서 혁신과 성장을 위한 촉진자로 역할이 변화된다. 민간과의 관계는 부분적이고 소극적인 소통 및 협업에서 융합형 합작(collaboration)과 창의적 기업 참여, 정책 입안 단계에서부터의 전면적 소통과 협업 관계로 전환된다. 미래에는 민간이나 공공 가운데 더욱 적합한 주체가 문제를 해결할 것이며, 입법권은 정부나 정치권의 독점 및 폐쇄 구조에서 개방 구조로 변화된다. 정부는 제한된 인적 네트워크 내에서 폐쇄적인 형태로 정보와 지식을 조달하고 있으나, 초연결사회에서는 사회 전체의 지식 생태계로부터 적시에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소셜 크라우드 소싱 등 다양한 방식이 동원될 것이다. 지난 십 수 년 동안 인터넷과 미디어를 포함한 각종 연결 기술은 급속도로 진화했으나, 그 연결 기술로 도래하고 있는 미래의 초연결사회에 리더십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이해는 부족했다. 세상의 변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국가 리더십의 현재를 진단하고 새로운 모습을 모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리더십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전통적 국가 리더십의 기반이었던 권력과 권위가 급격한 속도로 붕괴되고 있으므로 미래지향적인 국가 리더십의 기반을 준비하고 갖추어야 한다고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가 리더십이라는 비정량적이고 추상적인 주제를 미래학 연구 방법론으로 다루어보았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미래학은 예측되는 미래와 함께 바람직하거나 선호하는 미래도 중요시하므로 정량적 접근과 함께 정성적 접근에 의해 균형 감각을 갖추거나 보완되어야 한다. 미래학과 리더십의 관계를 나름의 과학적 방법으로 밝혔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먼 미래에 대한 예측이라기보다 약 10년 이후에 도래할 초연결사회를 대상으로 미래 모습을 모색했다. 특히, ‘리더십’이라는 사회 변화의 중요한 주제가 미래 연구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밝히고 미래 연구 방법의 적용을 시도해 보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미래에 선호되는 시나리오에 따른 세부적인 장단기 전략 및 실천 방안을 수립할 뿐만 아니라 다른 3가지 형태의 미래 이미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등 보다 심화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16004
형태사항 vi, 9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eong Hwan He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춘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n Taek R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4-8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