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nderstanding smart learning preference and adoption: two comparative analyses = 스마트러닝 선호와 채택에 관한 연구: 2가지 비교연구
서명 / 저자 Understanding smart learning preference and adoption: two comparative analyses = 스마트러닝 선호와 채택에 관한 연구: 2가지 비교연구 / Jung Hwan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41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5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innovation of online technologies and the rapid diffusion of smart devices ar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researches, however, have focused on traditional e-learning or m-learning environment, and they have failed to capture the features of new learning environment. Smart learning is a new paradigm based on “Smart” ICT Technologies, which is therefore more advanced and developed than conventional e-learning/m-learning. Especially, the rapid diffusion of smart learning has facilitate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mproved knowledge sharing in workplace.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s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and analyze how this characteristics influence its adoption in view of innovative decision process. 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ntal characteristics (knowledge, persuasion, and decision) of an adoption.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 smart learning research trend with e-leanring and m- learning first (knowledge), and then examines the preference (persuasion) and adoption (decision) of smart learning. Besides, this study consider different interest groups like Human Resource Department (HRD) Managers 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because much of the literature that is currently available on workplace learning and e-learning has concentrated on employees in large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opinions of HRD Managers as they are the key people. In the case of SMEs, most of researches focus on short-term solutions to the constraints of workplace learning. SMEs plays a significant role and takes significant share in a national econom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dentify how SME chooses or decides workplace learning and how its decision process differs from its counterpart in large enterprises. Essay I analyzes the preference of employees and HRD managers on smart-learning in workplace using the conjoint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groups prefer smart phone devices over tablet PC and laptop for learning, and favor flat rate scheme as a method for learning expense payment. However, the three differs in preferences of learning place,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field. This approach allows firm to bridge the gaps between the decision makers’ (HRD Manager) perspective and the real users’ (employees) perspective. If HRD managers cannot fully reflect the needs of employees, the firm faces the classic, but challenging, principal-agent problem.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HRD managers and employees, this research may facilitate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in workplace. Essay II analyzes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smart learning from the HRD managerial perspectiv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reflects perceived risk (PR) an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I). Further,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n large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reveal that their adoption of smart learning differs. First, large enterprises emphasize perceived ease of use (PEOU) as a reason for adoption, while SMEs emphasize perceived usefulness (PU). Second, while OI affects both types of enterprises, P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large enterprises. Finally, mobility and interactivity, important features of smart learning, have different effects on PEOU and PU for the two typ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 learning is also an appropriate means of workplace learning in SMEs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e-learning and m-learning approaches. Because smart learning’s advantages such as interactivity and mobil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MEs, while large enterprises are more concerned about convenience (i.e. PEOU). In addition, this found that perceived ris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smart learning acceptance among SMEs, which are relatively deficient in e-learning integr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benefits, such as PU and PEOU, offset the perceived risk of smart learning for SMEs. It also suggests that smart learning may offer a foundation for the extension of e-learning to SME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reveals meaningful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in innovating the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 Furthermore, this dissertation will become a useful guidance for HRD managers, solution providers, and content providers toward smart learning environment and thus creating more value for companies.

최근 기업들은 총성 없는 전쟁이라 불릴 만큼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인적자원 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의 유형자산 확보가 경쟁력의 중요한 원천이었다면, 지금은 지식(Knowledge)이라는 무형자산이 유형자산 못지않은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 중 인력에 대한 교육은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스마트러닝 도입 과정을 하나의 혁신-의사결정 과정(The Innovation Decision Process)으로 보고 지식(Knowledge), 설득(Persuasion), 결정(Decision) 관점에서 선호(Preference)와 수용(Adoption)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기업교육에서 처음 스마트러닝에 대한 지식을 얻고, 태도를 형성하며, 수용 또는 거부를 결정하고 이후 실행에 대한 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새로운 기업교육에 대한 대안을 결정하는데 수반될 수 밖에 없는 불확실성(Uncertainty)를 고려한 것인데, 결국 기업 스마트러닝은 혁신의사결정과정에서 단편적이며, 일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거치며 다양한 행위가 혼합되어 진행되는 프로세스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겠다.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본 논문은 두 가지 연구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기업교육에서 스마트러닝에 대한 개념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용의향과 세부 효용, 속성별 중요도를 컨조인트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선호(Preference)에 관한 연구이다. 여기서 스마트러닝의 대표적 속성은 단말(Device type), 학습장소(Learning place), 학습방법(Learning method), 학습분야(Learning field), 요금지불방식(Expense payment) 등 5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효용(Utiltiy), 속성(Attribute)별 상대적 중요도(relative importance)를 분석함으로 기업교육에 가장 적합한 스마트러닝 컨셉을 도출하였다. 특히 개인(individual) 단위의 학습자(employee)뿐만 아니라 조직(organization) 관점에서 기업교육 담당자(HRD manager)를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선호를 비교 분석함으로 기존 온라인 교육 수용 연구와 차별화 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러닝 수용과 관련해서 기업교육담당자와 학습자는 긍정적 평가를 나타내는 가운데, 이용하는 단말 형태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기업교육담당자는 학습의 효율성 관점에서 시간과 장소에 제한되지 않는 직무관련 교육 확대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 기업 구성원은 교육을 통해 자기계발, 개인전문성 강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방식에 있어서는 기업교육담당자는 양방향 의사소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구성원은 개인화된 맞춤형 콘텐츠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스마트러닝 수용(Adoption)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한 연구는 기업의 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구분하여 채택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모형에서는 이전의 온라인 교육 수용과 차별화 되도록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과 같은 제약요인, 조직혁신성(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같은 환경요인 등을 함께 고려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가 필요한 것은 기업교육이 스마트러닝이라는 새로운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학문적 영역에서는 스마트러닝 수용과 관련한 연구가 실증적인 분석으로 시도되지 않아 이를 분석함으로 정책적/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스마트러닝 채택에서 대기업은 사용편의성(Perceived Ease of Use)을, 중소기업은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기업, 중소기업 모두 조직혁신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위험은 중소기업에서는 유의하지 않고, 대기업은 유의하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특히 스마트러닝의 중요한 특성에 해당하는 연결성(Mobility)과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은 지각된 유용성, 편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혁신의사결정 과정의 분석을 통해 스마트러닝은 창조경제 기반의 새로운 국가도약을 목표로 하는 정부로 하여금 기업의 인적 역량 강화 방안으로 실무적, 정책적, 제도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기업교육이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자신의 특성과 환경에 맞게 학습 환경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의 의사결정자들과 솔루션 및 콘텐츠 공급자 등에게 까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5012
형태사항 viii, 7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정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 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 Kee Choi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문기
수록잡지명 : "Factors affecting smart learning adoption in workplaces: comparing large enterprises and SM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doi: 10.1007/s10799-014-0201-5 , pp. 1-12(2014)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