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개인혁신성향에 따른 방송시청장치간 선호도 분석과 태블릿을 통한 방송시청 이용의도 = Th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device preference and tablet adoption intent for television viewing
서명 / 저자 개인혁신성향에 따른 방송시청장치간 선호도 분석과 태블릿을 통한 방송시청 이용의도 = The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device preference and tablet adoption intent for television viewing / 장지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33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M 1502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086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M 15025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focused on early TV viewership using mobile devices among individuals aged 20 to 39. Subjects' personal innovativeness was conceptualized as a two-dimensional concept, namely cognitive innovativeness and sensory innovativeness. Based on this conceptualization, analysis was done to find which dimension can predict individual's preference for content type (genre) and device. Also used wa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vis et al., 1989) in order to explore individual's intent to adopt tablet computers for viewing television. Results show that, increase in individual's sensory innovativeness leads to preference for smart devices (e.g., smart phones, tablets), as well as intent to use tablet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alysis. On the other hand, increase in cognitive innovativeness correlated to the tendency of viewing television as the best device for television viewing. TAM analysis also revealed that cognitive innovativeness led to negative attitude toward viewing television with tablet computers. Change in television viewing environment led by advance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TT, and N-Screen, led to various television broadcasting services. While other research viewed television and smart devices complementary to each other, this study viewed them as competitors for analysis. Also, by taking individual difference to account, this study provides data of early viewership that can be used for improving television services and devices.

본 연구는 최근 20~30대 연령층에서 나타나는 TV시청감소,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방송시청증가 등 시청환경 변화에 대한 초기 사용자에 대한 연구이다. 사용자의 개인혁신성향을 인지적 혁신성향과 감각적 혁신성향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방송시청장르 선호도 및 방송장치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또, 두 가지 개인적 혁신 성향 중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태블릿을 이용한 방송시청에 적극적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술수용모델(TAM; Davis et al., 1989)을 태블릿을 통한 방송시청 이용의도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의 감각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블릿)에 대한 장치선호도가 높았으며, 기술수용모델에서도 이용의도가 적극적임이 확인되었다. 스마트기기의 선호 이유는 유용성과 용이성 이외에 사회적 이미지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반해 인지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방송시청장치로서는 TV가 기능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보는 경향이 드러났으며, 선호하는 방송장치 역시 TV가 가장 높았다. 기술수용모델을 통한 분석에서도 인지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태블릿 방송시청에 대해서 부정적인 성향이 드러났다. 정보기술의 발달 및 OTT, N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방송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방송시청장치로서의 TV,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PC등 다양한 장치가 경쟁하며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 다르게 전통기기인TV와 신규 스마트기기 (스마트폰, 태블릿) 간의 보완이 아닌 경쟁장치 관점에서의 실증적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초기 사용자의 심리적 분석을 통해 방송 서비스 와 방송장치에 대한 개선 및 발전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M 15025
형태사항 45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hwan J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병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 Ho Park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