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의 미래예측 활동 평가와 미래역량 제고 방안 = Evaluation of government foresight activities for enhancement of future capabilities: a survey on government officials
서명 / 저자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한 정부의 미래예측 활동 평가와 미래역량 제고 방안 = Evaluation of government foresight activities for enhancement of future capabilities: a survey on government officials. / 최혜승.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18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S 15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rowing uncertainties of the future coupled with complex societal structure ignited unprecedented challenges that the governments have to face. To lessen the risks coming from uncertainties, governments have started to systematically incorporate foresight activities. In Korea, research on foresight is being conducted by various think tanks and universities. Despite the effort, many researchers criticize how the government does not incorporate future-oriented perspectives within their policies. On this matter, it is important to first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government with regard to foresight activities and its future capabilities. Also, since th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s bears importance when it comes to successfully implementing foresight activities within the government body, this research evaluates foresight activities and future capabilities of the government, through surveying the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government officials to evaluate government foresight activities and their relation to future capabilities. A total of 102 surveys were collected and the survey findings were analyzed through SPSS program for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esight activities can be clustered into two main groups, ‘explorativeness’ and ‘openness’. For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resight activities and four dependent variables were future capabilities. The 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observed. As a result, more variables on foresight activities turned out to hav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all four dependent variabl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overnment is at the initial stage when it comes to incorporating foresight activities within their system and that the government lacks future capabilities. To enhance future capabilities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suggests three main educational alternatives. First, the government officials need to be provided with more education on foresight. Government officials tend to be rather short-sighted, due to many pressing issues they have to deal on a daily basis. Thus, when formulating policies, they tend to be less attentive to long term consequences. In this light,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basis of foresight should be more emphasized. Second educational alternative focuses on communication. As the research finding reflects how communication is not at work within the government, debate-oriented and network-focused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to instill government officials to be more open-minded and be more willing to communicate internally and externally. Third education alternative focuses on educating government officials on having a diverse perspectives.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lack diverse perspectives when it comes to formulating policies, resulting in narrowed and short sighted policies.

미래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은 과거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국가적 위기를 초래한다. 정부도 급변하는 외부환경에 대응하고자 노력하지만 현대의 사회문제는 이해관계자 및 파급효과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는 위험요소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역할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인식조사를 통해 정부의 미래예측 활동을 평가했고 이에 따른 정부의 미래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공무원의 미래예측 활동 및 미래역량과의 관계를 통계적 검증을 시도했다. 총 12가지 미래예측 활동과 인지력, 대응력, 복원력, 적응력으로 구성된 미래역량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인지력을 제외한 대응력, 복원력, 적응력 단계에서는 두 가지나 세 가지 미래예측 활동만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공무원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부서 내 소통을 장려하는 것,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 등 미래예측 활동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현재 미래예측 활동은 국내에서는 초반인 것을 감안하면 아직 공무원 인식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다. 공무원의 미래예측 활동과 미래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누락된 미래예측 활동 변수들에 대한 세 가지 교육 대안을 제안했다. 첫째, 전반적인 미래예측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교류와 소통을 중시하는 토론 중심 동아리를 형성하여 소통을 장려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 다양한 시각을 보유하고 타부서 정책도 고려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중앙공무원교육원의 사례중심적 및 부처별 경쟁을 통한 교육을 장려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S 15010
형태사항 v, 64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e Seung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병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eong Won Park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