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Open innovation for sustainable growth of technology firms in asia = 아시아 지역 기술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개방형 혁신
서명 / 저자 Open innovation for sustainable growth of technology firms in asia = 아시아 지역 기술 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개방형 혁신 / Jiwon Pai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90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5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s firms try to grow sustainably in order to survive, many of their activities can be characterized as innovation. Globalization has led to increasing competition between firms, causing the former boundaries of innovation to crumble. In the past, firms competed mainly through striving to perfect their own functions, but recently a new model has arisen which utilizes outside resources and technology, and this trend has been growing rapidly. Such “open innovation”, a term suggested by Henry Chesbrough in 2003, is now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academia and business. Open innovation describes activities which shar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collaborating with other firms as partners to maximize a variety of benefits in a mutually advantageous manner. This study is about how firms can grow by using open innovation, and its empirical analysis should be of interest not only to academic scholars but also to executives and managers of companies. The dissertation comprises three studies dealing with global smartphone manufacturers, medium-sized South Korean firms, and large Chinese firms. The first study examines how the open innovation approaches and strategic fit of smartphone manufacturers function in delivering innovation outcomes and business performance. Smartphones are an excellent subject for investigating open innovation, being not only a product made up of various integrated components, but also a value-added service.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n smartphone manufacturers and their collaboration partners during a recent three-year period, by analyzing four specific are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ntent services, and telecommunic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ppropriate use of open innovation increases a smartphone manufacturer’s network position and innovation output. An additional finding is that performance increases when there is a strategic fit in each innovation area, so that the resource obtained by open innovation aligns with the innovation output. Thus, open innovation activities are positively related to innovation outcomes, and also, when they are strategically aligned, to a firm’s performance. The second study analyzes the a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tensity and open innovation upon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firms in newly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South Korea. The foremost East Asian latecomers are transitioning from a catch-up phase toward becoming leaders, and they are engaging in open innovation activities to drive this transition. 75 medium-sized Korean firms were chosen for analysis, since large Korean companies such as Samsung or Hyundai are already global leaders, and smaller companies are still in the catch-up stage. Two major findings are reported from analysis of patents, licensing, co-development, R&D expenditures, revenue, etc. First, some types of open innovation activ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as also does R&D intensity. Second, R&D intensity negatively moderates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activities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This result means that if a firm with high R&D intensity and one with low R&D intensity both do the same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e high R&D intensity firm will not increase its technology capabilities as much as the low R&D intensity one. It is therefore advantageous for firms to pursue open innovation activities (specifically outside-in and inside-out activities) when their R&D intensity is relatively low, as for some prominent latecomers. The third study is about large Chinese technology firms using open innovation for global expansion. Chinese companies have recently been growing rapidly, and some are now trying to translate success in their home market to global markets by means of open innovation strategies. This research examines six major Chinese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consumer electronics (CE) companies, specifically investigating their open innovation practices. Face-to-face interviews were held in Beijing and Shanghai with 102 people from 31 organizations: they were chosen for their expert knowledge of the target firms, and included former employees of these firms, distribution channel managers, business analysts, consultants, market researchers, academics, and policy and legal experts. It was anticipated that this diverse selection of people would afford this study a greater degree of transparency and objectivity than existing interview studies which depend solely on former or current employees.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Chinese large firms are aggressively pursuing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e benefits they are seeking include overseas distribution channels, local product development, cost reductions, and improved customer response, among others. This dissertation examines open innovation strategy from several different perspectives. The first and second studies imply that the open innovation activities which firms pursue need to be tailored to specific states and situations, and the third study illustrates some real cases of open innovation, making use of voices from a wide variety of fields.

기업은 살아남기 위해 지속 성장하려고 노력한다. 이를 위한 대부분의 과정을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로 인한 기업 간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면서, 혁신의 경계도 허물어지고 있다. 기업들은 산업, 규모, 지역을 가리지 않고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고 있다. 과거에 기업은 주로 자기완결형 체제를 지향하면서 경쟁했지만, 최근 외부 자원과 기술을 활용하여 급성장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개방형 혁신이 주목 받고 있다. 개방형 혁신이란 용어는 Henry Chesbrough가 2003년 제시한 것으로, 기업이 외부 파트너와 협력을 통하여 내, 외부 자원을 공유하고 성과를 극대화하는 활동을 말한다. 본 학위논문은 기업들이 어떻게 개방형 혁신을 활용하여 성장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학계 연구자뿐만 아니라 기업에 종사하는 경영층과 실무자들을 위해 실증 분석 위주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은 크게 3가지 연구로 나누어 지는데, 각 연구는 글로벌 스마트폰 기업을 비롯해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 기업들을 다루고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성공하는 스마트폰 기업들이 어떻게 개방형 혁신과 전략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혁신 성과를 거두고 기업 실적을 높이는지에 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무수히 많은 부품과 서비스가 집약된 제품으로 개방형 혁신 활동을 분석하는데 최상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7개 주요 스마트폰 기업들과 이들의 파트너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협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부품, 소프트웨어, 콘텐트 서비스, 이동통신 등 4가지 분야에서 일어난 과거 3년 간의 데이터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을 활용하는 스마트폰 기업들은 그들의 네트워크 위상이 향상되고, 이를 통해 혁신 성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가지 분야에서 개방형 혁신을 통해 확보한 자원이 전략적으로 각 분야의 혁신 성과로 연결되어 나타날 때 기업 실적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개방형 혁신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것이 전략적인 방향과 일치한 경우에만 최종적으로 기업 실적에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한국 중견기업의 R&D 집약도와 개방형 혁신이 기술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 기업들은 Catch-up 단계를 지나서 능동적인 개방형 혁신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삼성, 현대와 같은 한국 대기업들은 이미 글로벌 선도 기업 수준에 올라섰고, 소기업은 아직Catch-up 단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75개 한국 중견기업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들 기업들의 인당 특허 수, 라이센싱, 공동 개발, 연구개발비, 매출 등 양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개방형 혁신과 R&D 집약도는 기술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둘째, R&D 집약도는 개방형 혁신이 기술 역량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것이다. R&D 집약도가 높은 기업은 같은 정도의 개방형 혁신을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기술 역량이 작게 늘어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중견기업 수준의 기업 중에서 R&D 집약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 개방형 혁신을 적극적으로 한다면 기술 역량을 높이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을 활용한 중국 전자기술 대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전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 기업들 중에서 특히 전자기술 대기업들의 해외 진출 사례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중국이 글로벌 전자 부품 공급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중국 내수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고, 정부의 중국 기업들에 대한 해외 진출 의지가 더해지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전자기술 업계를 대표하는 6개 기업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개방형 혁신 전략에 대한 실제적이고 매우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각 분야 31개 조직에 속해있는 전문가 102명을 직접 인터뷰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대상 기업 전, 현직 임직원들을 인터뷰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해당 기업 전직 임직원을 포함하여 유통 관계자, 증권사 애널리스트, 시장조사관, 컨설턴트, 교수,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만났다. 이것은 결과가 보다 투명하고 객관적으로 분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터뷰 결과 중국 대기업들은 해외 현지 유통 개척, 현지향 제품 개발, 원가 절감, 고객 요구 대응 등을 목적으로 적극적으로 개방형 혁신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했으며, 글로벌 첨단기업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 속해 있는 한국 중견기업, 중국 대기업의 개방형 혁신 활동을 골고루 살펴보았다. 첫 번째, 두 번째 연구는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초점을 맞춰야 하는 개방형 혁신 활동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세 번째 연구는 다양한 현장의 실제 목소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개방형 혁신 사례를 보여주었다는 것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5011
형태사항 vii, 79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백지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yun Joon Ch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현준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