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제품 개발 성과향상을 위한 Manufacturability측면의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ways of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focusing on manufacturability
서명 / 저자 자동차 부품 제조업의 제품 개발 성과향상을 위한 Manufacturability측면의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ways of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focusing on manufacturability / 김지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79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TM 15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038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TM 15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re is several fundamental competiveness in automobile industry like low cost, high quality, conveniences which satisfies customer’s needs. The main driving force to create, maintain these competiveness depends on ho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s well organized and conducted effectively. Automobile industry, one of the typical products of manufacturing field have salability character, which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customers and market’s needs and manufacturability character including parts developing and supplying, assembling in order to make embodiment for salability character. From the viewpoints of manufacturing, competiveness of automobile industry is high quality of product development power which enables high level of correct manufacturing as the content of drawing, embodiment of product. Activities of production division decides quality (interior/exterior, assembling condition) of product, productivity (work time, productive efficiency), which can influence total performance of the product development (lead time, cost, quality). For this, role of production division charges in manufacturing is very important. But under the intensified competiveness of automobile industry, types and complexity of product models are increasing and required time to develop product is shortening continually. In this situation of product development process, several quality issues and disputes among stakeholders can be happen, but after completing prior development stages like planning, conceptualizing, designing stages, production division may have critical points that undertake unsolved problems, potential issues which cause serious defect of product. In order to improve this, we can suggest production division should increase self-strengthening operational capabilities to ensure “Manufacturability” and competiveness of produc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awareness of importance in production division of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and suggest viewpoint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manufacturability of automobile parts manufacturing industries as follows - Enhancing problem-solving capabilities of production division - Conducting improved CFT activities by Project Manager - Operation of Learning organization in production division

자동차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에는 낮은 가격, 높은 품질,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여러 편의사항의 반영 등 여러 다양한 요소가 있다. 이러한 경쟁적인 요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제품개발 프로세스가 얼마나 잘 갖춰져 있고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진행되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Lean Product Development와 같이, 무엇보다 제품 출시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중요한 시장의 승리요인이 된 상황에서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경쟁적으로 제품개발 단축을 위한 여러 개선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조업의 대표적인 상품인 자동차는 소비자와 시장의 니즈에 맞게 제품이 기획되어야 하는 상품적 특징과 이러한 상품성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관련 부품들이 개발되고 조달되어 오차 없이 완벽하게 조립되어야 하는 제조의 특성이 있다. 제조적 관점에서 볼 때 자동차 제품개발의 경쟁력은 초기 기획단계에서 컨셉화된 상품의 spec, 성능, dimension, 치수 등이 설계 도면의 내용대로 정확하게 실제 부품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조를 직접 담당하는 후행단계의 생산부문(Pilot, 양산단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생산부문은 이러한 주어진 설계에 맞는 제품의 양산성 검증 및 요구 품질이 확보된 안정적인 양산을 목표로 한다. 생산부문의 활동은 결국 제품의 품질 (조립성, 내/외관 품질 外) 및 생산성 (작업공수, 라인 편성효율 外)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제품개발의 성과인 Lead Time, Cost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단계이다. 하지만 경쟁적인 제품개발 시간 단축,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제품의 제조 및 시장 출시를 위해서는 짧은 시간 내에 다양하고 많은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 및 검증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빈번한 품질문제 및 부문간 이슈사항으로 인한 고질적인 loss가 발생하나, 기획, 컨셉, 설계가 완료된 후 생산부문에서는 주로 이를 감수하거나 자체개선으로만 해결해야 하는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산부문의 자체적인 역량 강화와 보다 효율적인 업무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제품개발을 위해, Manufacturability적 측면에서의 제품개발 프로세스 및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은 궁극적으로 제품개발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이 1) 4M관점에서의 생산 부문의 개선 활동 2) 조정과 협력 (Coordination)을 활성화 하기 위한 효과적인 CFT (Cross-Functional-Team) 활동 3) 학습 조직 (Learning Organization)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3가지의 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개선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TM 15002
형태사항 113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soo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보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 Won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MBA,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