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개방형혁신지수를 통한 IP5 특허공유제도의 비교연구 및 특허공유제도 입법론 = A comparative study and a legislative proposal of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IP5 countries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index
서명 / 저자 개방형혁신지수를 통한 IP5 특허공유제도의 비교연구 및 특허공유제도 입법론 = A comparative study and a legislative proposal of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IP5 countries based on the open innovation index / 남석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78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P 15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Under today`s "Era of Global Open Innovation," it is a general trend that the open innov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in both outside-in and inside-out ways. However, the results of the outside-in open innovation are generally created in the form of co-ownership or joint ownership of a patent right so that they are restricted by a patent system regarding the joint ownership (i.e. a patent co-ownership system) when they are exploited to realize inside-out open innovation and generate profits. This study, from this perspective, has found that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is working as "Gridlock" of incurring stagnation for patent exploitation as to the open innovation and such "Gridlock" phenomenon is quite severely shown in Korea. Further, this study h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among IP5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n innovation while introducing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as a new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the open innovation activation and Gridlock in IP5. That is, on the premise that the open innovation is indivisibly interlinked with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in this study, the ratio of co-owned patents subject to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is defined as the quantitative open innovation index and the level of open innovation activation of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is defined as the qualitative open innovation index, and then, these indexes are integrated into a newly presented Open Innovation Index ("OII").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to IP5, Korean has been found as having the lowest level of the open innovation activation among IP5. A conducted survey also shows awareness that the open innovation has been hindered by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in Korea, an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ny legal solution should be necessarily prepar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desirable amendments to the patent co-ownership system that is suited for Korean circumstances, as follows: (i) on exercise of a patent right, except as otherwise agreed in a contract among all the joint owners, each of the joint owners of a patent may separately exercise a patented invention without consent of the other owners (maintaining the current provision); (ii) on transfer of a share, while each of the joint owners of a patent may transfer a share, the other owners may have preemptive right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rom the notification date of the transfer plan; (iii) on grant of a non-exclusive license, while each of the joint owners of a patent may grant a non-exclusive license for the patent without consent of the other owners, a joint owner who grants the non-exclusive license should distribute a part of the profits accruing from the non-exclusive license to the other owners. If the proposed legal solutions are accepted, it is expected that Gridlock would be appropriately resolved and thus, patent exploitation such as patent transfer, commercialization, etc. would be activated. Consequently, open innovation would be promoted in both outside-in and inside-out ways, and all of the joint owners could enjoy profits and legal interests from the results of the open innovation. Accordingly, researchers or inventors would be inspired and actively involved in joint research and development, which would eventually improve the patent quality and make great contributions to Korea in growing as an IP Hub country.

오늘날 ‘글로벌 개방형혁신 시대’ 하에서, 개방형혁신은 내향형·외향형 모두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내향형 개방형혁신의 성과물은 대개 공유특허권의 형태로 창출되고 이러한 공유특허권을 활용하여 외향형 개방형혁신을 실현하고 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경우 특허공유제도의 제한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특허공유제도가 개방형혁신에 대해 특허 활용 정체 현상을 일으키는 ‘그리드락(Gridlock)’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러한 ‘그리드락’ 현상이 상당히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혁신의 관점에서 IP5 특허공유제도를 비교분석함과 동시에, IP5 국가들의 개방형혁신 활성화 수준 내지 특허공유제도의 그리드락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특허공유제도’라는 새로운 지표를 도입하였다. 즉 개방형혁신과 특허공유제도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와 같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전제 하에, 특허공유제도의 규율을 받는 공동소유 특허의 비중을 정량적 개방형혁신지수로 정의하고, 특허공유제도의 개방형혁신 활성화 수준을 정성적 개방형혁신지수로 정의한 다음, 양자를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개방형혁신지수(OII)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모델을 IP5 국가를 상대로 적용한 결과, 한국은 IP5 국가 중에서 개방형혁신 활성화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이 한국의 특허공유제도가 개방형혁신을 저해하고 있다는 인식은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법제적인 해결책이 강구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 실정에 적합한 특허공유제도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i) 자기실시의 경우, ‘각 공유자는 계약으로 특별히 약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얻지 아니하고 그 특허발명을 자신이 실시할 수 있다’는 현행 규정을 유지하고, (ii) 지분양도의 경우, 각 공유자는 그 지분을 양도할 수 있고 다른 공유자는 양도계획을 통지받은 날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선매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며, (iii) 통상실시권 허락의 경우, 각 공유자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얻지 아니하고 그 특허권에 대하여 통상실시권을 허락 할 수 있되, 통상실시권을 허락한 공유자는 허락에 따른 수익의 일부를 공유자간에 배분할 것을 의무화하도록 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입법적 해결방안이 수용된다면, 그리드락 현상이 적절히 해소되어 특허의 이전·사업화 등의 특허 활용이 활성화되면서 결과적으로 개방형혁신이 내향·외향적으로 모두 장려되고, 개방형혁신의 성과물로부터 공동소유자 모두가 공평하게 수익과 법익을 향유함에 따라 연구자의 발명의식이 고취되고 공동연구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특허의 품질이 향상되고 한국이 IP 허브 국가로서 성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P 15005
형태사항 vi, 76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ok Hee Na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성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ng Pil Park
수록잡지명 : "개방형혁신지수를 통한 IP5 특허공유제도의 비교연구 및 특허공유제도 입법론". 지식과 권리, 통권17호, pp.156-213(2014)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