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투명도 조절 가능 표면을 활용한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조명 = Ambient display lamp with transparency controllable surfaces
서명 / 저자 투명도 조절 가능 표면을 활용한 앰비언트 디스플레이 조명 = Ambient display lamp with transparency controllable surfaces / 차세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48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15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s information and computing technology develops, it becomes easier to gather and review information not with a monitor, but with product and physical environment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ractive surfaces embedded in household product would enhance ambient display of information in everyday life. This thesis presents Gleamy, with controllable transparency of surfaces as an ambient display for home. It is composed of triangle cells of which transparency can be changed. User can customize Gleamy with static or dynamic patterns using a smartphone. And Gleamy expresses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internet through changing transparency of its surfaces. Exploratory studies in real usage environment or laboratory similar to it were conducted to explore value and role of the lamp with transparency controllable surfaces as an ambient media for home environment. Twelve participants articulates experience with Gleamy in two aspects: as a household lamp and as an ambient display. The main questions of the study were the role, effect and perception toward it. As a lamp, the change of surfaces’ transparency helps decorating the environment and creating atmosphere by customizing Gleamy with static or dynamic patterns. As an ambient display for home, Gleamy represents information in glanceable, abstract and unobtrusive manner. Moreover, materiality and interactivity of surfaces were found to enhance emotionally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The contribution of the thesis is threefold. First, it suggests design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ransparency controllable surfaces to the household lamp as an ambient display. Second, it develops a working prototype and reports development process with relevant alternatives and considerations. Third, it verifies potentials of controllable transparency of a lamp’s surface for ambient information display through user study and proposes consideratio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rough augmented household product embedded with interactive surfaces.

정보와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정보를 축적하고 확인하는 것이 수월해 지고 있다. 특히 사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물리적인 환경과 제품이 인터넷에 연결됨에 따라 컴퓨터가 아닌 일상 사물을 통해 정보 기술을 제공할 가능성이 확장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일상 제품의 표면 변화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상에서의 주변적 정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제어나 디지털 정보에 따라 표면의 투명도를 변화할 수 있는 조명 제품 글리미 (Gleamy)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가정환경 및 연구실에서 탐색적 사용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글리미의 사용 경험은 조명과 정보 표현 제품의 측면에서 서술되었다. 표면의 투명도 변화는 조명의 분위기 조성 기능을 증강하고 제품의 미적 가치를 높여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투명도 변화 가능한 표면에 의한 정보 표현은 재료적 특성과 동적 특성을 토대로 정보를 감성적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본 논문의 기여는 첫째, 투명도 조절이 가능한 재료를 조명에 적용하는 방법과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둘째,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반복적인 디자인 과정을 서술하고 사용자가 체험 가능한 프로토타입 Gleamy를 제안하였다. 셋째, 사용 경험 평가를 통해 표면 투명도가 조절되는 조명의 앰비언트 디스플레이로의 활용 가능성을 밝히고 인터랙티브한 표면을 지닌 제품으로 정보를 표현할 때의 추가적인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15011
형태사항 vi, 6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ijin Cha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남택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ek-Jin Na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