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비누거품을 이용한 소멸적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 Designing ephemeral user interface with soap foam
서명 / 저자 비누거품을 이용한 소멸적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 Designing ephemeral user interface with soap foam / 김예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47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D 15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fter Tangible bits, numerous HCI researchers have tried to make the boundary between digital space and real world blur and seamless. Toward a more Human-Centered Perspective, rich and sensory experiences are priority factors for the interaction design. As the importance of materiality has been uprising, ephemerality has been focused for adapting natural materials and phenomenon to the interaction design. The ephemeral and natural materials, like fog, ice and water, provide abundant inherent properties and aesthetic experiences which artifacts cannot imitate. These points lead to the question of how ephemerality can enter into the digital and design space, and how the natural changing of ephemeral material and phenomenon adapts to the interactivity. To figure out the applicability of ephemerality, I suggested the interactive media using disappearing material ‘soap foam’, which is familiar and hedonic matter in our daily life. The research process is following; First, I explored foam’s material property and semantic values for developing new interactive media. Second, with combining soap solution and helium, I designed I/O platform which can support the foam’s dynamic physical transitions (generating - floating - disappearing) and adapted technical implementations to the interface, including sensing and detecting material’s changings. Based on the different degree of users’ engagement, three applications were suggested. Lastly, with the feedback of users’ experience workshop, I figured out design requirement of soap foam’s properties and ephemerality. This research is aiming to defining the value of ephemerality and finding potentials for applications of TUI, enhancing the quality of user experience. From the study, the physical changing of materials affects user’s perception and reaction. Users were aware of the implicit meaning and informat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ze, density and speed of generating of foam.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durability of material made the information and contents more sensual and meaningful. As the elements of interface, this research found the controllability and expressivity of soap foam interface was defined by the users’ intuitive interaction to the material. Especially, the vagueness of ephemeral user interface showed potentials in the various context and applications.

탠저블 비트 이후, HCI의 연구들은 디지털과 현실세계 사이를 무너뜨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인간-중심의 관점에서, 풍부하고 감각적인 인터랙션 사용자 경험은 더욱 우선시 되었다. 물질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연물질이나 현상을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하는 소멸성이란 개념이 주목 받기 시작하였다. 연기와 얼음, 그리고 물과 같이 사라지는 자연물질들은 인공물이 쉽게 모방하기 힘든 풍부한 고유적 성질과 심미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에서, 소멸성이 디지털과 디자인 공간에 개입될 수 있을까 또는 사라지는 물질의 자연적 변화가 상호작용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을 것이다. 소멸적 물질의 인터랙션 디자인으로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친숙하고 일상적인 물질인 비누거품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제안한다.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새로운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개발을 위해 비누거품의 물질적 특성과 의미적 가치를 찾아낸다. 두 번째, 비누용액과 헬륨을 조합하여, 입출력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플랫폼을 디자인한다. 이 미디어는 비누거품의 역동적인 물리적 변화(생성-부유-소멸)을 포괄하고 물질의 변화를 측정하고 감지하는 센서 기술이 적용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관여도에 따라 세 가지의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사용자들의 실제적 체험을 통해서 거품의 물성과 소멸성에 대한 디자인 요구사항을 밝혀내었다. 물질의 물리적 변화는 사용자의 인지적, 행동적 반응에 영향을 주었다. 사용자들은 비누거품이 생성되는 속도, 크기, 밀도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내재된 의미와 정보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연구는 또한, 물질의 소멸성과 그 정도에 따라 정보와 내용을 더욱 감각적이고 의미적으로 만든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인터페이스의 요소로서 거품의 표현성과 조작 가능성은, 사용자의 물질에 대한 직관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정의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멸적 유저 인터페이스가 가진 애매모호성의 가치는 다양한 맥락과 적용 속에서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D 15002
형태사항 vii, 84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ese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우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hun Lee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