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어드벤처 게임에서 의도형성 방식에 따른 플레이어 경험의 차이 = The differences of player experience according to intention formation method in adventure Game
서명 / 저자 어드벤처 게임에서 의도형성 방식에 따른 플레이어 경험의 차이 = The differences of player experience according to intention formation method in adventure Game / 최준엽.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44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5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intention of a game creator when designing a game must be to make the player act. Even in the adventure genre, which has a linear structure, players often have difficulty determining what to do and their game experience will be interrupted if the behavior inducement is incorrect. The universal way to induce a player is to form the intention of the player as a goal. One common classification is the verbal method, which assigns the player a quest to indicate a specific goal. Another is the non-verbal method, which relies on expressing the game environment with sensible emphasis and signifiers. This paper compares these two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the advantages of the non-verbal method on player experience. Intrinsic satisfaction, rather than extrinsic, is the main consideration of gameplay. The competence, autonomy, and presence are set up as the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regarded as the subordinate elements of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players experienced better competence and presence when playing a nonverbal rather than a verbal version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게임 디자인에서 개발자의 의도대로 플레이어가 행동하게끔 유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어드벤처 게임과 같이 선형적 구조를 가진 장르에서조차 적절한 방식으로 행동을 유도하지 않으면 플레이어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중단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일련의 행동 유도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목표를 구체화함으로써 게임진행에 대한 플레이어의 의도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환경의 강조 및 기표를 통해 의도를 형성하는 비언어적 방식과 문자를 통해 구체적인 행동지침을 제시하여 의도를 형성하는 언어적 방식이 플레이어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게임플레이는 외적 보상이 아닌 그 자체가 주는 만족감이 주된 고려사항이므로 플레이어의 경험을 평가하는 척도로써 내적 동기의 하위 요소로 간주되는 역량감, 자율성, 현존감을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언어적 방식에서 언어적 방식에 비하여 더 높은 역량감과 현존감을 경험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5012
형태사항 v, 49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un Yeob Choi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봉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ng Gwan Jun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