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ructuralizing the fluxus way of life: an analysis of the evolution and the pattern of interaction in the social network of fluxus, 1960-1996 = 플럭서스의 구조화 : 플럭서스 소셜 네트워크의 진화와 행동 패턴, 1960-1996
서명 / 저자 Structuralizing the fluxus way of life: an analysis of the evolution and the pattern of interaction in the social network of fluxus, 1960-1996 = 플럭서스의 구조화 : 플럭서스 소셜 네트워크의 진화와 행동 패턴, 1960-1996 / Rooni Le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43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5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Fluxus is often understood as an avant-garde art movement led by George Maciunas in the 1960s. Such narrative, however, is limiting as it overlooks the contribution of other influential Fluxus artists. This paper aims to disprove this art historical canon in its temporal scope and the ideological homogeneity in its narrative through the adop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examination of the social network of Fluxus enables to understand Fluxus as a complex network realized by a myriad of interactions among various artists rather than a movement headlined by a single artist. With the interactions and behaviors as the very subject of analysis, it adopts statistical methods that facilitate a macroscopic observation of the patterns of interactions in a wide temporal and geographical scope. Considering a co-appearance at an event or publication as a sign of interaction, the network demonstrates the structure of interactions based on the chronology in The Fluxus Reader. The source is comprised of 1,324 Fluxus-related exhibitions, performances, events, and publications along with their locations, dates, and 1,147 participating artists in total. Its temporal scope spans from 1960 through 1996. With the expansive spatial and temporal scope along with the wide-range of events, this chronology clearly breaks apart from the Maciunas-based paradigm. Using the chronology as data, the social network of Fluxus artists is created based on artists’ co-participation;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ame event or appeared together in a publication, are linked in pairs. The paper first attempts to revisit the temporal scope of Fluxus. The analysis on the size and activeness of the network enables observation of the evolution of Fluxus, disproving the validity of the canonical temporal scope. The size of the network is measur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 of the number of participating artists. The population increase and decrease reflect a natural evolution of a social network. The examination of the activeness, which is measured by the number of edges and component size, also indicate a natural revolution. Both examinations do not signify any statistical anomaly in the year of 1978, where the Maciunas-based paradigm marks as the end of Fluxu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role and the position of each artist within the network in order to prove the ideological heterogeneity of Fluxu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network-the hubs and bridges connecting the artists-is not monopolized by one individual or a unified ideology, but comprised of multiple political and social thoughts, confirming the heterogeneity in Fluxus.

플럭서스(Fluxus)는 1960년대에 조지 마치우나스(George Maciunas)가 이끈 아방가르드 예술 무브먼트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서술은 플럭서스에 기여한 다른 작가들의 역할을 간과하며 플럭서스에 대한 깊은 이해를 불가능하게 한다. 이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 기존의 미술사적 서술의 제한적인 시간범위와 개념의 동질성을 반증한다. 플럭서스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플럭서스를 한 명의 작가가 이끈 예술운동이 아닌,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 복잡 네트워크로 이해하게 한다. 작가 간의 상호작용과 행동패턴이 연구의 중심이 되는 이 논문은 거시적인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통계적 방법론을 이용한다. 플럭서스의 네트워크는 The Fluxus Reader에 수록된 연대표를 이용해 만들어졌다. 이 데이터는 총 1,324개의 플럭서스 관련 전시, 퍼포먼스, 이벤트 그리고 출판물을 담고 있으며, 그에 따른 장소, 날짜, 1,147명의 참여 작가들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1960년부터 1996년까지의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이 연대표는 방대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다루며, 기존의 마치우나스 중심의 미술사적 서술보다 더 포괄적이라 여겨진다. 이 연대표를 이용하여--같은 이벤트에 함께 참여한 여부가 작가 간의 친밀도라는 전제 하에--작가들을 연결시켜 플럭서스의 소셜 네트워크를 표현할 수 있다. 논문은 기존 미술사에서 다루는 플럭서스의 시간적 범위를 다시 논의하고자, 네트워크의 크기와 활동성의 변화를 관찰한다. 네트워크 크기는 참여작가 수에 기반을 하여 분석되며, 활동성은 엣지(edge)의 수와 컴포넌트(component)의 크기에 기반해 분석된다. 네트워크 크기와 활동성의 변화는 기존 마치우나스 중심의 내러티브가 플럭서스의 끝으로 표시하는 1978년이 통계상 변칙를 표시하지 않음을 보여주며, 플럭서스의 퇴화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진화과정임을 증명한다. 기존의 미술사적 내러티브는 또한 플럭서스를 단편적인 정치적, 사회적, 예술적 개념을 갖고있는 운동 또는 공동체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논문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개념적 동질성을 반증한다. 노드(node)역할 분석은 플럭서스의 허브(hub)와 구조적공백(structural hole)이 이질적인 개념을 가진 작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미술사적 틀에서 조명받지 못한 작가들 또한 네트워크를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연구는 통계적 접근 방법과 소셜 네트워크를 미술사에 접목하므로써 보다 다양하고 거시적인 시각에서 예술의 역사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5009
형태사항 v, 3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이루니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 Jae L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원재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