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 시장에서의 Model-free 내재변동성의 정보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content of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in the Korean market
서명 / 저자 한국 시장에서의 Model-free 내재변동성의 정보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tion content of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in the Korean market / 박승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34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FE 15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970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FE 15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investigates three points, which are information efficiency of model-free volatility, misreaction behavior of option investors according to different volatility regimes, volatility estimation by using indices of volatility regimes. Rhee and Hwang (2008) investigated that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had more information efficiency than Black-Scholes implied volatility and historical volatility in Korean option market.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information efficiency after appearance of VKOSPI 200 index (2009). As a result,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still has more information efficiency than Black-Scholes implied volatility and historical volatility, but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can`t explain information of VKOSPI 200 index. Kang (2012) investigated misreaction behavior of option investors according to different volatility regimes. This paper also finds same misreaction in different period, which KOSPI 200 index option investors tend to under-react to volatility shock in the high volatility regime, to over-react in the low volatility regime, and not to misreact in the state of normal level of volatility.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of Kang (2012), this paper estimates volatility by using indices of volatility regimes because of misreaction behavior of option investors according to different volatility regimes. However, this paper finds that indices of volatility regimes are not proper to estimate volatility because estimated volatility using indices has worse performance than model-free implied volatility.

이 논문은 model-free 내재변동성의 정보효율성, 변동성 국면에 따른 옵션투자자들의 이상반응, 변동성 국면 지표를 통한 변동성 추정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룬다. 이병근, 황상원 (2008) 은 한국 옵션시장에서 model-free 내재변동성이 블랙숄즈 내재변동성과 과거변동성보다 좋은 정보효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조사하였다. 이 논문은 VKOSPI 200 지수가 등장한 2009년 이후의 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추가로 VKOSPI 200 지수와의 비교도 진행하였는데, model-free 내재변동성이 블랙숄즈 내재변동성과 과거변동성에 대해 여전히 좋은 정보효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VKOSPI 200 지수의 정보는 설명할 수 없었다. 강병진 (2012) 은 변동성 국면에 따른 옵션투자자들의 이상반응에 대해 조사했는데, 이 논문에서도 강병진 (2012) 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옵션투자자들은 변동성 과열 국면에서는 과소반응을, 변동성 침체 국면에서는 과잉반응을, 변동성 정상 국면에서는 이상반응을 보이지 않은 것이다. 변동성 국면에 따라 옵션 투자자들이 이상반응을 보인다는 이 연구에서 착안하여, 변동성 국면을 활용한 새로운 변동성 추정 방법으로 변동성 국면 지표를 활용해보았다. 그러나 변동성 국면 지표를 활용한 새로운 변동성 추정 방법은 오히려 model-free 내재변동성보다 좋지 못한 추정변동성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에 변동성 국면 지표가 변동성을 추정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FE 15008
형태사항 ii, 54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ungki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강장구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ng Koo Kang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금융공학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