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소비자 사용자 혁신의 공개패턴과 영향요인 = The revealing pattern of consumer user innovation and its influence factor
서명 / 저자 소비자 사용자 혁신의 공개패턴과 영향요인 = The revealing pattern of consumer user innovation and its influence factor / 박다운.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29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T 15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965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MT 15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Free revealing is an interesting phenomenon within the user innovation context. Several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users develop innovation themselves due to unavailable solutions offered within the current market (von Hippel, 1976, 1988). Furthermore, such user developed innovations often hold high commercial values (Franke & Shah, 2003; von Hippel, 2005). Despite such high commercial valu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hat user innovators often voluntarily give up their rights and freely reveal their innovation to the general. Several scholars have focused on discovering the reasons behind why user innovators freely revealed their innov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everal non-economical factors, such as reputation related purposes, gaining valuable feedback from others with similar interest (Harhoff et al., 2003; Jeppesen & Fred-eriksen, 2006; Lerner & Tirole, 2002; Morrison), spillover effect (De Jong et al., 2014; von Hippel & DeMon-aco, 2013), and etc. were identified as features that explain free revealing aspect of user innovators. However prior studies hold two limitations. First the research context, prior studies measured user in-novation within user communities where participating members should have to reveal their innovation to receive help from others users when he or she is in need of help (Jeppesen & Frederiksen, 2006; Lerner & Tirole, 2002). Hence the collected data from user innovation communities can be biased due to reciprocal behavior. Second, these studies did not include selective revealing (Henkel, 2006; Henkel et al., 2014) which may be occur in real worl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in comparison between free and non-free revea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free reveling is a better option for user innovators (Henkel et al., 2013). However as it was aforementioned, selective revealing aspects were neglected. Due to such limitation, this study re-evaluates the revealing pattern of user innovation by including selective revealing, within the prior comparison model of Henkel et al (2013). Moreover, this study includes both users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user who do not. With consideration of prior studies limitations, this study discovers that some user innovators reveal their innovation selectively especially when their expenditures are high in terms of time and money to ac-complish their innovation, consider commercialization, and produce high value inno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lp from others on revealing behavior. Prior studies regarded that when user received help from others, they reveal their innovation freely. However the revealing pattern of innova-tion depends on structure of relationship with helper.

사용자 혁신에서 무료 공개는 재미난 현상 중의 하나이다. 과거 몇몇 연구들에서는 시장에서 자신의 욕구를 해결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혁신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들이 개발한 혁신 제품은 상업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놀랍게도 사용자 혁신가들은 이와 같이 상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제품의 소유권을 포기하고, 혁신과 관련된 정보나 지식을 타인에게 무료로 공개하는 현상을 보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사용자들이 타인에게 자신들이 개발한 혁신을 무료로 공개함으로써, 다른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을 얻을 수 있고, 파급 효과와 같은 비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혁신의 공개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사용자 혁신의 공개와 관련된 연구들의 대부분이 사용자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진행되었다. 커뮤니티 내에는 자신이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을 도와야한다는 호혜성이라는 규범이 존재하기 때문에, 혁신 공개 패턴의 결과가 편향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선택적 공개를 고려하지 않았다. 과거의 연구들에서는 혁신의 무료 공개와 비공개를 비교하여 혁신의 무료 공개가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혁신의 공개 범주에 선택적 공개를 포함하고, 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사용자와 하지 않는 사용자를 모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혁신 개발을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한 경우, 상업화를 고려하는 경우, 높은 가치의 혁신을 개발한 경우에는 혁신을 선택적으로 공개하는 경향이 높음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사용자들의 도움이 혁신의 공개에 미치는 영향을 재평가하였다. 과거 연구에서는 타인의 도움이 무료 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간주했지만, 본 연구의 결과, 도움을 주고 받는 구조에 따라 혁신의 공개 패턴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T 15013
형태사항 v, 9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a Un Ba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영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 Bae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부,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