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velopment of electrochemical catalyst and electrolysis system for CO2 capture and conversion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을 위한 전기화학적 촉매 및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서명 / 저자 Development of electrochemical catalyst and electrolysis system for CO2 capture and conversion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을 위한 전기화학적 촉매 및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 Jieun S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27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150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ver-increasing CO2 emission and CO2-causing global warming i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hat we human beings are facing. One obvious approach to tackle this daunting problem is to capture CO2 and convert it. In this MS thesis, I adopted two separate tactics: electrochemical reduction to CO and electrochemically-mediated mineralization to car-bonate compounds. For the conversion to CO, Ag and γ-MnO2 binary catalyst was tested as a cathode catalyst in an electrolytic cell. Prepared γ-MnO2 was characterized by XRD and SEM. The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Ag/γ-MnO2 toward CO2 reduction was investigated by cyclic voltammetry (CV). Ag/γ-MnO2 containing 10 wt% of silver was found to have a higher catalytic activity than carbon-supported 10 wt% Ag and a similar catalytic perfor-mance with Ag/C 50 wt%. The binary catalyst with low content of Ag had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catalytic activity. This result, along with its exceedingly low cost, suggests that γ-MnO2 is indeed a promising co-catalyst toward CO2 reduction. In addition to this, direct CO2 mineralization was established using a membrane-based electrolyzer based on an ammonia absorption process. The feasibility of this novel system was confirmed by way of quantifying solid forms of Na2CO3 and/or NaHCO3, both of which were confirmed and characterized by XRD. In an attempt to shorten the process, optimal conditions were sought: operational parameters, such as absorbent concentration, voltage, and CO2 flow rate, were examined. Under my experimental setup, the measurable amount of carbonate precipitates were obtained in 3 h a condition of 5 M of ammonia solution, 10 V of voltage, and 80 mLomin-1 of CO2 flow rate. Current flow was also monitored between electrodes and pH/EC of cathode cell, which aided in unravelling mineralization mechanism in a rather indirect manner. It appeared that in the tested specific electrolytic cell, the rate-limiting step was either Na+ migration or CO2 absorption capacity, though other factors including absorbent concentration, CO2 inlet flow rate, or alkalinity produced by electrolysis were not ignored and thus warranted further in-depth investigation. This MS work, though limited in terms of depth and width, clearly showed that the proposed and tested systems had poten-tials able not only to reduce the atmospheric CO2 emission but also to treat sea water and/or brine, and in so doing to produce industrially useful products.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인한 지구온난화는 현재 인류가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고 전환시키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본 학위 논문에서는 전기화학적 환원을 통한 일산화탄소로의 전환과 전기분해장치를 활용한 탄산염으로의 광물화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 전환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전환하기 위해 은과 감마상의 이산화망간 이원 물질을 환원 전극의 촉매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환원 활성을 확인하였다. 감마상의 이산화망간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X-선 회절분석법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그 특성을 확인하였고, 은-이산화망간 이원 촉매의 환원 활성을 순환전압전류실험(Cyclic voltammetry)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은이 10 wt% 포함된 은-이산화망간 이원 촉매가 탄소에 담지된 10 wt% 단일 은 촉매보다 이산화탄소 환원에 대해 높은 촉매 활성을 보였으며, 탄소에 담지된 50 wt% 단일 은 촉매와 그 활성 정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소량의 은이 포함된 은-이산화망간 이원 촉매가 이산화탄소 환원에 대한 높은 활성을 보임에 따라, 조 촉매로 사용된 감마상의 이산화망간의 역할을 확인하면서 그 경제성 역시 확보하였다. 이와 더불어, 암모니아 흡수 과정을 바탕으로 한 막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직접적으로 광물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본 시스템을 통해 X선 회절분석법으로 성분이 확인 된 고체상의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탄산염을 침전물로 회수하면서 제안된 시스템의 실질적인 구현을 확인하였다. 반응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흡수제의 농도, 전압, 이산화탄소 주입 속도 등의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최적화된 조건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시스템에서 5 M 암모니아, 10 V 전압, 80 mLomin-1 속도로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였을 경우 3 시간 만에 가장 빨리 측정 가능한 양의 탄산염을 얻었다. 광물화 과정의 전반적인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하여 양 전극에 걸리는 전압에 따른 전류 량과 환원 쳄버의 pH,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에서 반응 속도 제한의 주요 요인은 막을 통한 나트륨 이온의 이동 속도와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용량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뿐만 아니라 흡수제의 농도, 이산화탄소 주입 속도, 전기분해로 인한 수산화이온 발생량 등의 조건 역시 침전물 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학위 연구를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감축함과 동시에 해수 담수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유용한 물질을 얻을 수 있는 전기화학 시스템을 제시하였고 그 구현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15012
형태사항 vi, 4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손지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ong In H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종인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